미국 에너지부가 최근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에 관해 안덕근(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한·미 간 에너지 협력 등을 논의하며 지정 해제를 요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약 3주 만에 다시 방미 길에 오른 안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 조치에 관해 한국의 입장을 재차 설명하며 국내 수출 업계의 대미 수출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안 장관은 20일 인천국제공항에서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민감국가 지정에 대해 “미국 정부가 우려하고 있는 기술 보안 문제를 어떤 식으로 다룰 수 있는지 미국 에너지부와 같이 협의를 해서 최대한 미국 우려 사항을 다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이 문제에 대한 건설적 대안을 모색하도록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안 장관은 “에너지 분야에서 한·미 간에 협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안이 많이 있다”며 “원자력, 소형모듈원전(SMR), 기타 가스 등 많은 분야가 있어서 전반적인 에너지 협력 분야 논의를 하고 이와 관련해서 민감국가 지정에 대해 협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이번 방미에서 미국산 에너지 수입 문제에 관한 논의도 보다 심화시켜 나갈 것으로 보인다. 안 장관은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에 관해 “우리나라 에너지 수급 구조상으로 중동에 과도하게 치우쳐 있는 수입선을 다변화하는 것은 국내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도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구체적인 (수입) 규모는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고 덧붙였다. 안 장관은 지난달 말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 정책 등에 대해 협의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한 것에 이어 3주 만에 다시 미국을 방문한다. 오는 21일(이하 현지시간)까지 미국 워싱턴DC에서 미 상무부 및 에너지부 장관 등 주요 인사를 면담할 예정이다. 특히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19일 미국과의 무역 관계에서 비관세 장벽이 높은 나라들을 ‘더티 15(지저분한 15)’라고 지칭하면서 한국도 여기에 포함되는 것인지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