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4일부터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의 모든 아파트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다고 밝힌 19일 서울 송파구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벽면에 초급매 매물들이 붙어 있다.    뉴시스
정부가 오는 24일부터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의 모든 아파트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다고 밝힌 19일 서울 송파구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벽면에 초급매 매물들이 붙어 있다. 뉴시스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35일만에 재지정·강화… 갈지자 규제에 혼란

24일부터 강남3구·용산구 묶여
전세 낀 매매 금지되자 호가 ‘뚝’
잠실 32억 아파트, 29억 급매도
매수자는 “계약금 포기해야하나”
‘열외’ 마포선 하루새 5000만원↑


“어제 오전 강남지역 한 아파트에 5000만 원 가계약금을 넣었는데 신고가나 마찬가지입니다. 계약 포기하는 게 좋을까요?”

서울시 강남 3구와 용산구 전역에 대한 전격적인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발표 이튿날인 20일 서울 전역의 부동산 현장은 대혼란이 벌어지고 있다.

부동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갑작스러운 규제로 우왕좌왕하는 수요자들의 성토 글이 줄을 이었다. 오는 24일부터 강남 3구와 용산구에서 전세를 낀 매매는 사실상 금지되면서 이들 지역에서는 수억 원씩 호가를 낮춘 매물이 나오고 있다. 32억 원대까지 호가가 치솟았던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전용 84㎡는 19일 29억 원대까지 호가를 낮춘 급매가 나오기도 했다. 토허구역으로 지정되면 전세를 낀 갭투자 물건으로 매매가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매수자들은 계약금을 날리더라도 계약을 포기해야 하는지를, 매도자들은 주말 사이에 호가를 낮춰서라도 물건을 팔아야 하는지를 고심하며 혼돈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오는 23일이 전세를 낀 거래를 할 수 있는 사실상 ‘데드라인’으로 설정되면서 주말 강남 일대 부동산들은 긴박해진 매수·매도자들로 문전성시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토허구역 지정을 피한 마포·동작·성동구 등 일부 지역은 벌써 들썩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 강동구 고덕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호가 변동이 조금씩 있지만 이미 내 집을 매도하고 갈아타기를 해야만 하는 실수요자들은 강남 3구가 아니더라도 어딘가에 매수해야 되는 상황”이라며 “전날에도 저녁 8시쯤 집을 보여줬는데도 34평 매물이 바로 계약됐다”고 말했다.

마포구 대장 아파트 마포프레스티지자이는 하루 사이 호가가 5000만 원 오른 매물이 나왔다. 마포더클래시에서도 기존 21억8000만 원에서 7000만 원 오른 22억5000만 원짜리 전용 84㎡ 매물이 등장했다.

마포 인근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정부 발표 이후) 전화가 엄청나게 많이 온다”며 “지금 매물을 보겠다는 문의로 주말 일정이 꽉 찼는데 집주인들이 주말 사이 호가를 수천만 원은 더 올릴 거 같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과열 양상이 지속될 경우 서울 나머지 지역에 대한 토허구역 지정 가능성을 열어놓은 만큼 하루라도 빨리 내 집을 마련하려는 수요자들이 몰리는 양상이다.

토허구역 지정 이후엔 급격한 거래 냉각기가 찾아올 가능성도 점쳐진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시에서 초강력 규제책을 썼으니 팔려는 사람이나 사려는 사람이나 당분간은 관망하려고 할 것”이라며 “다만 강남 거주 수요 자체가 줄어들진 않기 때문에 전·월세 수요가 점차 늘고 매물은 잠기는 수급 불균형이 벌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소현·김영주 기자

관련기사

이소현
김영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