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가족센터 온라인 설문조사
보고서 "여성, 주 양육자 역할 부담"
자녀가 없는 서울 20~40대 중 남성은 부모가 되고 싶은 의향이 점점 강해지는 한편, 여성은 여전히 부담을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3일 서울시 가족센터가 발간한 2024 서울가족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7월 8~14일 자녀가 없는 20~40대 884명을 상대로 부모가 되고 싶은 의향을 온라인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평균 점수는 1~5점 중 3.4점이었다. 이 중 남성은 3.7점으로, 2021년과 2022년 각 3.3점, 2023년 3.5점에서 높아지는 추세였다. 다만 여성은 3.0점으로 2023년과 같았다. 2021년, 2022년 각 2.7점보다는 높았다.
부모가 되고 싶은 의향이 3점 이상인 응답자들은 ‘사랑을 줄 존재가 생겨서’, ‘사랑하는 사람의 아이를 갖고 싶어서’, ‘자녀를 키우는 보람, 즐거움 때문에’ 순으로 이유를 답했다. 3점 아래인 응답자들은 ‘기대만큼 자녀를 잘 키울 자신이 없어서’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 답변은 특히 여성(4.3점)이 남성(3.9점)보다 높게 점수를 매겼다. ‘한국 사회가 자녀를 키우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도 여성(4.1점)이 남성(3.6점)과 차이를 보였다.
보고서는 "여성은 돌봄 책임자라는 전통적 성 역할 기대가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여성이 부모 됨을 원치 않는 배경에는 주 양육자 역할에 대한 부담, 양육 친화적이지 않은 한국 사회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현아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