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부터 배우 이영애, 이혜영, 김선영. 이영애와 이혜영은 오는 5월 각각 LG아트센터와 국립극단의 ‘헤다 가블러’로, 김선영은 4월 ‘그의 어머니’로 연극 무대에 복귀한다.
위부터 배우 이영애, 이혜영, 김선영. 이영애와 이혜영은 오는 5월 각각 LG아트센터와 국립극단의 ‘헤다 가블러’로, 김선영은 4월 ‘그의 어머니’로 연극 무대에 복귀한다.


■ 스크린 스타들 [연극 무대] 복귀·도전 잇따라

김선영 내달 ‘그의 어머니’ 출연
“반복 연기, 단단함을 다지게 해”
이영애·이혜영은 5월‘헤다’로
각각 32년·13년만에 무대에 서
젊은 배우들도 “역량 강화 기회”

공연 매출액, 2023년 영화 추월
작년엔 2500억 넘게 격차 벌려


연극계는 더 이상 배고프지 않다. 이영애, 이혜영, 김선영 등 내로라하는 여배우는 물론 손호준, 유승호 등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약하는 젊은 배우들까지 무대로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보기 드문 화려한 캐스팅에 연극팬들은 가슴이 설렌다. 이들이 앞다퉈 연극 무대로 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무대에 대한 갈증과 그리움
이영애와 이혜영은 오는 5월 각각 LG아트센터와 국립극단의 ‘헤다 가블러’로, 김선영은 4월 ‘그의 어머니’로 돌아온다. 이영애는 32년 만에, 김선영은 7년 만에 연극에 복귀했다. 이혜영은 13년 만에 주인공 ‘헤다’를 다시 연기한다. 배우들은 무대가 주는 현장감이 그리웠을 뿐 아니라 연기에 대해 더 깊게 고민할 수 있는 기회라고 입을 모았다. 이영애는 “그동안 드라마, 영화에서 좋은 작품을 많이 했지만 배우로서 항상 목마름이 있었는데, 50대가 된 지금 다양한 감정을 쏟아낼 수 있는 캐릭터가 바로 ‘헤다’”라고 말한 바 있다. 김선영도 최근 공개된 ‘그의 어머니’ 연습 현장에서 “‘내가 이러다 바닥나겠구나’ 이런 생각을 했다”며 “연극은 반복해서 최고를 뽑아내야 하는 만큼 그 속에서 단단함을 갖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혜영에게 ‘헤다 가블러’는 그리웠던 작품이다. 2012년 명동예술극장 초연 당시 제5회 대한민국 연극대상 여자연기상, 제49회 동아연극상 여자연기상을 안겨준 명작이다. 13년 만에 팬들에게 화답하는 이유다. 국립극단의 박정희 예술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박 감독은 “초연 당시에 배우가 ‘헤다’ 역할을 매우 감도 높게 연기했다”며 “배우도 자신이 캐릭터를 충분히 체화하고 있다고 인지했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저무는 영화·드라마, 떠오르는 연극
뮤지컬, 연극, 콘서트 등 공연 시장의 전체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톱배우들의 연극 행도 늘어나고 있다. 2024년 공연 티켓 총판매액은 1조4500억 원을 넘었다. 2023년에 1조2697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80억 원 넘게 영화 시장 매출을 추월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그 격차를 2500억 원 넘게 벌렸다. 특히, 연극의 성장세가 눈에 띈다. 전년 대비 공연 작품 수, 회차 등이 모두 증가했다. 시장이 활성화하는데 기존의 배우들은 물론, TV·영화의 스타들도 마다할 이유가 없다. 연극 제작사로선 톱배우들의 이름값으로 흥행을 노릴 수 있고, 배우로선 색다른 무대에서 자신을 벼릴 기회를 얻을 수 있어 윈윈이다. 최승연 평론가는 “드라마, 영화 시장이 쪼그라들면서 출연 기회가 줄어든 측면이 없지 않다”면서 “게다가 엄청난 홍보 포인트가 되는 만큼 배우와 제작사 모두의 필요를 충족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황정민·손석구처럼… 도약을 위해
손호준과 유승호는 5월 ‘킬링 시저’에 함께 출연한다. 둘은 2024년에도 연극 ‘엔젤스 인 아메리카’에서 손발을 맞춘 적이 있다. TV나 영화만 찍어도 될 것 같은 배우들이 연극판에 뛰어드는 건 연기에 대한 진지함, 나름의 소신과 철학이 합쳐진 결과다. ‘연기력 논란’이라는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도전과 시도를 멈추지 않겠다는 것이다.

게다가 든든한 모범 사례들이 있다. 황정민과 손석구가 대표적이다. 황정민은 이미 오래전부터 영화와 연극, 뮤지컬을 오가며 배우로서 다채로운 매력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는 연극 ‘맥베스’의 타이틀 롤을 맡아 호평받았다. 손석구는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 영화 ‘범죄도시2’ 등으로 큰 성공을 거둔 뒤 연극 ‘나무 위의 군대’를 택했다. 개막 전부터 전석 매진되는 등 큰 인기를 얻었다. 손호준과 유승호도 꿈꾸는 미래다. 김정 연출은 “두 배우 모두 연극을 대하는 태도가 굉장히 진지했다. 첫 리딩 때도 과감하게 해석한 캐릭터에 이입해 대본을 읽어주니 연출로서 자극도 되고 좋았다”고 전했다.

김유진 기자 yujink0211@munhwa.com
김유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