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22일 도쿄 외무성 이쿠라공관에서 열린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22일 도쿄 외무성 이쿠라공관에서 열린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년세대·문화교류 확대…정상 참석 행사도 협력 의지
북핵·미사일 문제 발언에 온도차…中, 우회적 美 견제도


일본 도쿄에서 22일 열린 ‘제11차 한중일 외교장관회의’는 한국의 탄핵 정국이 지속되는 가운데 3국 협력 고도화를 위한 동력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3일 외교가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서 3국 장관은 지난해 5월 열린 3국 정상회의 합의 사항을 토대로 각종 교류 사업을 추진하자는데 뜻을 모았다. 3국은 공동 해결 과제로 △지속가능 발전 △보건·고령화 △재난구호·안전을, 미래지향 협력 목표로 △경제·통상 △과학기술·디지털 전환을 제시했다.

특히 미래를 책임질 청년 세대 교류를 더욱 확대하고, 올해 4월 개막하는 ‘한일중 문화교류의 해’ 관련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국과 중국은 양자회담에서 문화교류 복원에 노력하기로 하면서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다.

3국은 이와 함께 올해와 내년 각국이 주관하는 정상 참석 행사에 대한 상호 협력도 약속했다. 올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는 한국이 의장국을 맡아 10월 말∼11월 초 경주에서 열릴 예정이고, 내년 APEC 행사는 중국에서 열린다. 지난해 한중일 정상이 정례화에 합의한 3국 정상회의는 올해 일본이 조속한 개최를 준비 중이다.

한일 간에는 양자 회담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자국 중심주의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소통도 이뤄졌다. 조태열 장관은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 속에서 유사한 상황에 놓여있는 한일 양국의 대응 방안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번 첫 방일 과정에서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과 친밀한 관계를 과시했다. 양 장관은 이시바 시게루 총리 합동 예방과 환영 만찬을 비롯한 여러 자리에서 거듭 주변에 서로가 ‘가장 신뢰하고 좋아하는 파트너’임을 강조했다는 후문이다.

다만 3국은 북한 문제나 경제 협력 등 일부 의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미묘한 입장 차이도 보였다.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및 러시아와 불법적 군사 협력에 대해 한·일과 중국의 입장은 극명히 갈렸다. 이와야 외무상은 회담에서 자신이 먼저 북한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고, 안보리 결의에 따른 북한 비핵화가 한중일의 공통 목표라고 못 박았다. 조태열 장관도 이에 공감하며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과정에서 북한이 보상받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반면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은 북한에 대한 언급은 없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3국이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각 측이 ‘한반도 문제의 근원’을 직시해야 한다며 우회적으로 미국을 겨냥했다.

손기은 기자
손기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