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8억 달러 투자해 전기로 일관 제철소 건설…현지 생산으로 ‘관세 0%’
2029년 상업생산·연간 270만t 규모…현대차·기아 현지 공장에 강판 공급
현대제철이 미국에 자동차용 강판에 특화한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하기로 했다. 미국이 전 세계적으로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일괄 부과한 상황에서 현대제철이 미국에 제철소를 세우게 되면 현대차·기아 현지 공장과 현지 완성차 업체 등에 25% 관세 부담 없이 철강 제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현대제철은 오는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미국 루이지애나주 어센션패리시에 전기로 제철소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앞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4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오는 2028년까지 미국에 총액 210억 달러(약 31조 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현대제철은 총 58억 달러(약 8조5277억 원)를 투자해 원료부터 제품까지 일관 공정을 갖춘 미국 최초의 전기로 일관 제철소를 지을 계획이다. 일관제철소는 광석을 녹여 선철을 만드는 제선, 철강을 만드는 제강을 한 번에 할 수 있는 제철소를 말한다.
전기로는 철 스크랩이나 철광석에서 산소를 제거해 환원한 직접환원철(DRI)을 녹여 철강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철광석과 석탄(코크스)을 원료로 가동하는 고로에 비해 탄소 배출량을 줄이면서도 고품질의 철강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신규 일관 제철소는 자동차 강판에 특화한 제철소로, 직접환원철을 생산하는 원료 생산 설비와 전기로, 열연 및 냉연강판 생산 설비로 구성된다. 연간 270만t 생산 규모를 갖출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1기 이후 최근까지 한국의 대미 무관세 수출 쿼터였던 263만t을 능가하는 규모다. 여기에 신규 제철소는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과 함께 신규로 가동되는 ‘현대차그룹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와 인접해 있는 만큼 현대차그룹 차원의 자동차 사업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제철의 미 현지 신규 제철소 투자 계획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2기에서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높은 무역장벽을 쌓은 상황과 무관치 않다. 무엇보다 현대차그룹의 최대 해외 시장인 미국 시장 사업을 안정적으로 꾸려가기 위해서는 자동차 생산의 필수재인 철강 제품 공급망부터 현지화할 필요가 있다는 전략적 판단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제철은 현대차·기아는 물론 미국 완성차 제조업체들의 전략 차종에 들어가는 강판을 주력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또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 지역을 비롯해 유럽 현지 글로벌 완성차 업체까지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한 투자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미국 제철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현대차그룹과 공동 투자를 협의 중이며, 전략적 파트너사와의 지분 투자도 검토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미국 내 탄소저감 전기로 생산 체계가 안정적으로 구축되면, 이를 국내에도 빠르게 확대 적용해 탄소중립 체제로의 전환도 가속화할 방침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미국 전기로 제철소 건설을 통해 고품질의 자동차강판을 직접 생산·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향후 글로벌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미국 내 현지 판매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 철강 시장은 견고한 철강 수요와 높은 가격, 미래 성장성 등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한 지역"이라며 "국내 대비 천연가스·전력 등의 에너지 비용이 낮고 물류비 절감도 가능해 가격 경쟁력 확보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고 덧붙였다.
최지영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