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차, 4년 210억달러 투자
“철강 등 공급망에 61억 달러
자동차 생산분야 86억 달러”
트럼프 “상호관세 면제 혜택
더 많은 국가에 줄 수도 있어”
워싱턴 = 민병기 특파원, 최지영 기자
현대자동차 그룹이 오는 2028년까지 미국에 총액 210억 달러(약 31조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한국 기업 중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2기에서 대미 투자의 첫 테이프를 끊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에 선제적으로 대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4일(현지시간) 백악관 루스벨트 룸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주재한 행사에 참석해 “향후 4년간 (미국 내) 210억 달러 규모의 추가 신규 투자를 기쁜 마음으로 발표한다”며 “우리의 미국 내 공급망 현지화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회장은 “이번 투자의 핵심은 미국의 철강과 자동차 부품 공급망을 강화할 61억 달러 규모의 투자”라며 루이지애나주에 신설될 전기로 제철소를 소개했다. 이어 26일 준공식을 갖는 조지아주 서배너 소재 ‘현대차그룹 메타 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 대해 “80억 달러 투자 규모의 새 공장을 열게 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자동차 생산 분야에 86억 달러, 부품·물류·철강 분야에 61억 달러, 미래 산업 및 에너지 분야에 63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가 곧 매년 100만 대 이상의 미국산 자동차를 생산할 예정”이라며 “이 투자는 관세가 매우 강력하게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현대는 미국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미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게 되며, 그 결과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사에서 ‘상호 관세 부과 때 일부 국가나 부문이 면제(break)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나는 많은(a lot of) 국가에 면제를 줄 수도 있다”며 “우리는 그들(상대국)보다 적게 부과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국내 주요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가 현실화하면서 국내 제조 기반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국내 산업 기반이 위축되고 일자리 또한 줄어드는 등 ‘공동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며 “핵심 제품 생산 및 중요한 연구·개발(R&D) 기반은 국내에 남겨둬야 탄탄한 기업 경영을 지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