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 회장이 24일 백악관에서 2028년까지 총 210억 달러(약 31조 원)의 추가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함께했다. 한국 기업으로선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첫 대규모 투자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 그룹의 미국 내 생산을 환영하면서 “결과적으로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어졌다”고 강조했다. 투자 확대 발표가 벌써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셈이다.

이번 발표는 미 관세 폭탄에 대응하는 ‘실용 경영’의 일환이다. 이미 시행 중인 철강 관세와 내달 2일 국가별 상계 관세, 자동차·반도체 등 품목 관세를 정면 돌파하기 위한 방어용 투자 확대다. 우선, 86억 달러를 투자해 26일 준공식을 갖는 조지아주의 자동차 공장 연간 생산능력을 30만대에서 50만대로 늘린다. 루이지애나주에 자동차 생산에 특화한 270만t 규모의 철강공장 건설과 자동차 부품·물류 확장(61억 달러), 미래산업·에너지(63억 달러)에도 투자한다. 이로써 현대차 그룹의 대미 투자는 총 415억 달러(61조 원)로 늘게 된다. 트럼프 정부는 호의적이다. 백악관이 앞서 철강 등의 투자 계획을 여러 차례 긍정적으로 언급한 데 이어,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유예를 시사하는 발언과 함께 “현대는 대단한 기업” 등 호평 일색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정 회장의 미국 내 자동차 공장 방문 요청에 ‘오케이’로 화답한 것도 의미가 작지 않다.

소나기는 일단 피하는 게 상책이다. 이번 대미 투자 확대는 현대차 그룹은 물론, 한미 정부 간 통상관계 강화에도 기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당장 상계관세·품목 관세 협상에서 예외를 인정받을 수 있는 교두보로 활용할 수 있다. 현대차가 앞으로 미국 내 거점 확장을 통해 세계 톱3를 뛰어넘어 더 크게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