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한 食·醫·藥, 국민건강 일군다

식약처 ‘전문인력 인증제’ 시행
교육강사·재활상담 인력풀 구축


최근 수년 사이 마약류 확산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에 대한 수사와 함께 중독자들의 오남용을 예방하고 재활을 돕기 위한 전문 인력 양성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마약류 예방·재활 전문인력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올해는 누적 300명의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 9월 마약류 예방·재활 전문인력 인증제를 도입해 예방교육강사 77명과 사회재활상담사 11명 등 전문인력 88명을 양성했다.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해 식약처 관계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마약류 확산으로 ‘마약 중독 사회’ 위기가 커지고 국민 불안감 확산 방지를 위해 마약류 예방·재활 등의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며 “마약류 예방·재활 분야의 수준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충분한 인력풀이 요구되며 전문성을 갖춘 인재 양성 및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예방교육강사는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에서 진행하는 학교와 군부대, 공공기관 등 마약류 오남용 예방교육에서 전문강사로 활동하고 사회재활상담사는 ‘함께한걸음센터’가 진행하는 재활교육과 상담,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전문 외부 상담뿐만 아니라 보호관찰소·교도소 등 다양한 재활 분야의 재활전문가로 활동한다.

정부가 마약류를 전담하는 예방·재활 인력을 꾸린 것은 기존 자격의 경우 정신건강과 임상심리, 사회복지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마약류 중독자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컸기 때문이다. 특히 식약처는 마약류 오남용 예방과 중독 재활을 개인의 국한된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책임이라는 시각을 강조하고 있다. 정부는 전문인력 양성 취지에 맞게 이들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이론교육과 필기시험, 현장실습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했다. 이론교육 수료 후 치르는 인증시험에 합격한 자가 현장실습을 통과하면 최종 합격하게 되고 식약처장 인증서를 발급받는다. 이론교육은 국제교육 과정 등을 참고해 국내 상황에 맞도록 과정을 설계했다. 식약처 측은 “대학과 학회, 유관기관 등 교수·민간전문가 약 130명 이상이 인증제 교육과정, 콘텐츠 개발에 참여했다”고 설명했다.

전문인력 양성인 만큼 관련 전공 학사 이상이거나 관련 면허 혹은 국가자격증 소지, 관련 분야 3년 이상 경력 중 한 가지 이상 조건을 충족해야 예방교육강사·사회재활상담사 과정에 지원할 수 있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마약류 예방과 중독 재활은 단순히 개인에게 국한된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책임이라는 시각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역량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마약류 중독 예방과 중독자들의 재활·회복·사회복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철순 기자 csjeong1101@munhwa.com

관련기사

정철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