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 피해 3만6000㏊ ‘역대 최대’
최근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현재까지 총 26명이 사망하고 30명이 중·경상을 입는 등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7일 오전 6시 기준 산불로 인한 사상자가 56명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사망자는 26명, 중상자는 8명, 경상자는 22명이다.
또한 이재민은 2만4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또 산림 피해면적이 3만5810㏊로, 기존 역대 최대 피해였던 2000년 동해안 산불의 피해면적(2만3794㏊)을 이미 1만㏊ 이상 넘었다고 밝혔다.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울산·경북·경남 산불대응 6차 회의를 연 중대본은 또한 주택 117동을 포함해 총 325개소의 시설물이 피해를 입었다고 전했다.
또한 약 2만 4000여명의 주민이 인근 체육관, 학교 등으로 대피했고, 귀가한 인원을 제외하고도 9300여명이 여전히 미귀가 상태다.
지역별로는 경남 산청·하동 1797명, 경북 의성·안동 2만 2026명, 울산 울주 온양 383명이 미귀가 상태로 집계됐다.
이 본부장은 “산불이 시속 8~10㎞ 속도로 예상보다 빠르게 확산되면서 피해가 커지고 있다”며 “사망자·중상자 대부분은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신속한 대피가 어렵거나 대피명령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정부는 가용 가능한 모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산불 확산세를 저지하고, 상황을 신속히 수습해 생활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이 안정된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행정안전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구호지원기관과 군의 협조를 통해 침구류, 생필품, 식료품 등 구호 물품을 피해 지역 시·군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대피소 및 임시주거시설에 거주 중인 이재민을 대상으로 재난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심리회복 지원도 적극 추진 중이다.
한편 구호협회 등 민간단체는 기부금 모금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현재까지 약 89억 3000만원이 모금됐다.
박준우 기자
관련기사
-
[속보]기다리던 비 오지만 5㎜…산림청 "양 적어 큰 도움 안될 듯"
-
이레째 산불 번지는 산청·하동…정오 무렵 비 예보
-
피해 3.6만㏊ ‘역대 최악’ 산불… 오늘이 최대 고비
-
야속한 ‘찔끔 비’… 건조특보 해제 안될 듯
-
지리산 내원계곡 연기… ‘국립공원 1호 지켜라’ 공중·지상 산불차단 작전
-
영덕·영양 진화율 10%대… 습도·강풍 ‘괴물’ 멈출 중대변수
-
최정예 특수진화대… 한밤 산불 한가운데 투입, 5시간만에 화선 제압
-
진화효율 좋은 대형헬기 7대뿐… 산림청 정비인력도 태부족
-
[단독]산불 진화 헬기 조종사 “하루 물 100t 퍼나르고 불길속 뛰어들어”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