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위성에서 바라본 경북·경남 산불 사진. 붉은 반점은 위성에서 감지한 열의 위치를 나타낸다. 백동현 기자(zoom earth 캡처)
지난 26일 위성에서 바라본 경북·경남 산불 사진. 붉은 반점은 위성에서 감지한 열의 위치를 나타낸다. 백동현 기자(zoom earth 캡처)


산림 피해 3만6000㏊ ‘역대 최대’

최근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현재까지 총 26명이 사망하고 30명이 중·경상을 입는 등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7일 오전 6시 기준 산불로 인한 사상자가 56명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사망자는 26명, 중상자는 8명, 경상자는 22명이다.

또한 이재민은 2만4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또 산림 피해면적이 3만5810㏊로, 기존 역대 최대 피해였던 2000년 동해안 산불의 피해면적(2만3794㏊)을 이미 1만㏊ 이상 넘었다고 밝혔다.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울산·경북·경남 산불대응 6차 회의를 연 중대본은 또한 주택 117동을 포함해 총 325개소의 시설물이 피해를 입었다고 전했다.

또한 약 2만 4000여명의 주민이 인근 체육관, 학교 등으로 대피했고, 귀가한 인원을 제외하고도 9300여명이 여전히 미귀가 상태다.

지역별로는 경남 산청·하동 1797명, 경북 의성·안동 2만 2026명, 울산 울주 온양 383명이 미귀가 상태로 집계됐다.

이 본부장은 “산불이 시속 8~10㎞ 속도로 예상보다 빠르게 확산되면서 피해가 커지고 있다”며 “사망자·중상자 대부분은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신속한 대피가 어렵거나 대피명령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정부는 가용 가능한 모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산불 확산세를 저지하고, 상황을 신속히 수습해 생활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이 안정된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행정안전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구호지원기관과 군의 협조를 통해 침구류, 생필품, 식료품 등 구호 물품을 피해 지역 시·군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대피소 및 임시주거시설에 거주 중인 이재민을 대상으로 재난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심리회복 지원도 적극 추진 중이다.

한편 구호협회 등 민간단체는 기부금 모금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현재까지 약 89억 3000만원이 모금됐다.



박준우 기자

관련기사

박준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