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26일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을 개최한 가운데, 직원들이 HMGMA에서 현대차의 준중형 전기 SUV인 ‘아이오닉 5’를 생산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자동차그룹이 26일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을 개최한 가운데, 직원들이 HMGMA에서 현대차의 준중형 전기 SUV인 ‘아이오닉 5’를 생산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 美메타플랜트 준공식에서 회견
“관세협상, 정부·기업 같이 해야”


엘라벨(조지아주)=민병기 특파원 mingming@munhwa.com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2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부과 공식 발표와 관련해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이날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에서 취재진에게 “관세 발표 이후 협상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해나가야 하고, 개별 기업도 해야 하므로 그때부터가 시작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저희가 (210억 달러 현지 투자) 발표한 것은 한 개 기업이기 때문에 관세에는 큰 영향을 주기는 힘들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관세라는 것은 국가 대 국가 문제이기 때문에 한 기업이 어떻게 한다고 해서 그 관세 정책이 크게 바뀔 거라고 생각을 못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만약에 (현대차그룹의 미국 현지 투자가) 조금 좋은 영향이 있다면 저희로서는 굉장히 노력한 보람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래서 (관세 부과 예고일인) 4월 2일이 굉장히 중요한 시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백악관에서 투자 계획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 “원래 (트럼프 대통령을) 여기 공장으로 초청했는데 루이지애나에 제철 전기로 공장을 건설한다는 얘기를 듣고 (트럼프 대통령이) 그러면 백악관에서 발표하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며 “그래서 그 자리에서 (발표를)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매우 큰 영광이었고, 주지사나 상·하원 의원들과 같이하게 돼 영광이었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미국 현지 투자 이유에 대해서는 “관세에 대비해 공장을 짓고, 제철소를 만든다기보다는 앞으로 미국에서 생산할 차량을 저탄소강으로 만들어 팔아야 하는 시기가 오기 때문에 그 일환으로 준비하게 됐다”고 전했다. 정 회장은 향후 투자 계획과 관련해 “부품이나 부품에 들어가는 철판 등에 대한 투자가 될 것”이라며 “로보틱스나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신기술에 집중적으로 투자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특히 환영사에서 “현대차그룹은 기술과 자동차에만 투자하는 것이 아닌, 무엇보다 관계에 투자한다”며 “우리는 단지 공장을 짓기 위해 이곳에 온 곳이 아니라, 뿌리를 내리기 위해 왔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이어 “(HMGMA는) 전기차뿐만이 아니라 하이브리드차도 생산할 것이고, 여기 시장에서 원하는 모델을 만들어 전 세계 공장 중에서도 중점적으로 운영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민병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