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정확한 원인 불명…마취과 연관성 추측


무릎 수술을 받고 마취에서 깨어난 10대 청소년이 한동안 모국어를 말하지 못하고 평소 사용하지 않던 영어만 구사한 사례가 전해졌다. 이른바 ‘외국어 증후군’으로, 이는 의학 문헌에서도 단 9건의 사례만 보고된 극히 드문 증상이다. 해당 증상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의료진은 이 같은 증상이 마취와 관련성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과학 전문 매체 라이브사이언스 등에 따르면 최근 네덜란드 국적의 A(17) 군은 축구를 하다 무릎을 다쳐 수술받았다. 수술은 성공적이었으나, 수술 직후 A 군은 모국어인 네덜란드어를 말하거나 이해하지 못했다.

대신 A 군은 영어를 구사하며 자신이 미국에 있는 것으로 인식했다. 수술 전 A 군은 학교 영어 수업 시간에만 영어를 사용했으며, 학교 밖에서는 영어로 의사소통한 적이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또 영어권 국가를 방문한 적도 없었으며, 영어권 국가에 친척이 있는 것도 아니었다.

의료진은 A 군이 영어로 말하는 것을 보고 그가 마취에서 회복하는 동안 일시적인 섬망을 겪고 있다고 생각했다. A 군은 수술 후 24시간이 지나서 친구들이 병문안을 왔을 때 비로소 네덜란드어를 이해하고 다시 말할 수 있게 됐다고 한다. 신경과 의사의 검사에도 A 군은 별다른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았다.

해당 사례 보고서를 작성한 의료진은 일부 문헌에서 통상 이러한 증상을 ‘외국어 증후군’과 연관시킨다고 설명했다. 이는 환자가 수술 또는 마취제를 맞은 뒤 일정 기간 모국어 대신 다른 언어를 갑자기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증상을 말한다. 특히 외국어 증후군 관련 증상이 의학 문헌에서 언급된 사례는 9건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드물다.

임정환 기자
임정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