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대 후보 사퇴로 단독 입후보
“지방 저축은행의 영업 광역화
또는 의무여신비율 완화해야”
부동산 PF 부실 등 악순환에
“부실채권 관리사 만들기 총력”
오화경(사진) 저축은행중앙회 회장이 차기 회장 후보에 단독으로 오르면서 사실상 연임에 성공했다. 새 임기 동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자산 정리를 이어가는 한편, 저축은행 인수·합병(M&A) 및 지방 저축은행 의무여신비율 등 규제를 완화하는 것이 최대 과제로 꼽힌다.
28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오는 31일 정기총회를 열고 차기 회장을 결정한다. 전국 79개 저축은행이 1사 1표를 행사하는데, 과반수가 참석해야 하고 참석자의 3분의 2가 찬성해야 선출된다. 오 회장과 정진수 전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대표의 맞대결이 예상됐으나, 정 전 대표가 후보를 사퇴하면서 오 회장이 단독 입후보했다. 오 회장이 민간 출신 회장으로 업계의 신뢰를 얻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연임에 성공했다는 분석이다. 공식 임기는 31일부터 시작되며, 임기는 3년이다.
오 회장은 이날 문화일보와 통화에서 부동산 PF 부실 대출 정리와 자산 안정화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저축은행 업계는 고금리 국면에서 대출 규모를 줄인 가운데, PF 부실 자산이 늘어나고 있어 연체율이 상승하는 등 악순환을 겪고 있다. 오 회장은 올해 저축은행 업계가 정리해야 할 부실 PF 규모를 약 3조 원으로 추정하면서 “가장 큰 문제는 수요 부족”이라고 분석했다. 오 회장은 “시장 상황이 회복되지 않는 한 소화하기 쉽지 않은 물량”이라며 “PF 정리를 위한 부실채권(NPL) 관리 회사를 만들기 위해 업계를 설득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 회장은 저축은행 M&A 전면 자율화가 필요하다고도 밝혔다. 최근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구조조정 범위를 확대하면서도 자산 건전성 4등급 이하이거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11% 이하인 부실 우려 저축은행으로만 한정했는데, 규제를 모두 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축은행 대형화로 인한 건전성 위기 확산 우려와 관련해 그는 “과거 저축은행 사태 때는 대형사들도 다 개인이 오너인 체제였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웠지만, 이제 대형사는 법인화되고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며 “금융당국이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해 자본력과 경영 능력 등을 살펴보고 있으니, 시장은 자유롭게 열어주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오 회장은 지방 저축은행 의무여신비율 규제 완화에도 힘을 실었다. 저축은행은 현재 영업권역이 6개로 나뉘어 있고, 지방 저축은행은 해당 지역 내 개인과 중소기업에 대출의 40% 이상을 공급해야 한다. 그러나 비수도권 저축은행은 지방 인구감소 및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의무여신비율을 맞추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는 “저축은행 전체 자산의 85% 이상은 서울과 인천·경기 지역에 쏠려 있다”며 “지방 저축은행의 영업구역을 광역화하거나 의무여신비율을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임기 동안 연봉의 절반을 쾌척해 대관 소통 자문단을 운영해온 오 회장은 “초심을 잃지 않겠다”며 연임 후에도 연봉 반납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김지현 기자 focus@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