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안=김대우 기자
전남도는 산불 대형화에 대비하고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회복지시설과 요양원 등 재난 취약계층 산불 대피 체계를 구축, 선제 대응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 대상은 산림인접지역 500m 이내에 있는 노인요양시설 227곳, 장애인 거주시설 58곳, 요양병원 24곳 등 모두 394곳이다.
매뉴얼에 따르면 ‘산림청 산불확산예측도’를 토대로 현장 지휘권자의 판단에 따라 위험지역 주민을 사전 지정된 임시 대피시설로 대피토록 한다. 현장 지휘권자는 산불 1단계(피해면적 10∼50ha)·2단계(피해면적 50∼100ha)는 시장·군수, 산불 3단계(피해면적 100ha이상, 24시간 연속)는 도지사 및 산림청장이다.
대피 장소는 시설별로 임시 대피시설과 이송 병원을 사전 지정해 거동 가능자는 학교 강당, 체육관, 회관 등으로 대피시키고 중증 입소자는 인근 시설이나 병원으로 이송한다. 의료시설의 경우 중증 환자는 목포 한국병원과 순천 성가롤로병원 등 종합병원으로, 경증 환자는 99개 인근 지정병원으로 긴급히 이송한다.
대피는 각 시설의 재난 대비 매뉴얼에 따라 이동하고 인력이 부족할 경우 시군 공무원, 생활지원사, 의용소방대 등을 지원한다. 시군 공무원을 24시간 현장 대응반으로 구성해 산불 대비 도-시군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마음 안심 버스와 건강 버스 등을 이용해 트라우마 치료 및 이동식 의료 서비스도 지원할 계획이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산불은 한순간의 부주의로 대형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철저한 준비와 대응으로 도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