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불 피해 농가·주거 지원책
경북도 5개 시·군 2300동 설치
정부, 영농 재개에 4000억 투입
안동=박천학·박수진 기자 sujininvan@munhwa.com
경북 내륙 중심인 의성에서 발생해 동해안 영덕까지 쑥대밭을 만든 ‘괴물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이 오는 9일부터 속속 임시주거시설로 이주할 전망이다. 이들은 현재 임시 대피소와 연수·숙박시설 등에 분산돼 지내고 있다. 하지만 임시주거시설에 입주해도 새집을 짓기 전까지는 불편이 계속될 전망이다.
경북도는 산불로 피해를 본 시·군 5개 마을을 대상으로 각각 20동씩 모듈러 주택을 옛 폐교 부지 등에 설치 중이며, 상하수도 공사가 마무리되는 9일부터 입주가 시작된다고 2일 밝혔다. 이 주택은 1동당 약 33㎡ 규모로 냉난방과 욕실(화장실), 침실, 주방 등을 갖추고 있으며 2∼3명이 지낼 수 있다.
경북도는 이들 시·군과 함께 임시조립주택 공급에도 나섰다. 이 주택은 1동당 약 27㎡ 규모로 모듈러 주택과 같은 시설이 제공된다. 도는 이재민들의 영농 편의를 위해 살던 마을이나 자가 주택지에 임시조립주택을 설치한다고 밝혔다.
도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일주일간 지속한 산불로 의성·안동·영양·청송·영덕 등 북동부지역 5개 시·군에서 이날 오전 8시 기준 주택 3986채가 소실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또 이재민 3275명은 체육관 등에 텐트를 친 임시 대피소와 각종 교육·연수시설, 모텔 등에서 생활하고 있다.
경북도는 가족 단위를 고려할 때 임시주거시설은 총 2300여 동이 필요한 것으로 잠정 파악했다. 주민들은 입주한 뒤 새집을 지을 때까지 1∼2년 살아야 한다.
한편, 정부는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경남·북 등 ‘산불 피해 지역 농업인 지원방안’을 발표하고 복구비·긴급생활안정자금 등 피해 농가 지원에 총 4000억 원 이상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농협은 피해 조합에 무이자로 2000억 원의 재해자금을, 조합원에게는 무이자로 가구당 3000만 원의 생활안정자금을 지원한다.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