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가 오는 6월 조기 대선으로 출범할 한국의 차기 정부와의 신뢰 관계 구축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고 일본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5일 요미우리신문은 양국 수교 60주년과 한중일 정상회의 등을 계기로 일본 정부는 한국의 차기 정부와 조기에 협력 관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신문은 양국이 도쿄에서 한일기본조약에 조인한 1965년 6월 22일 전후로 열릴 행사나 올해 일본에서 개최 예정인 한중일 정상회의 등을 계기로 한국의 새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처럼 전했다. 실제로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전날 중의원(하원) 내각위원회에서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에 따른 한일 관계 영향을 질문받고 “어떤 정권이 되더라도 올해는 한일 수교 60주년”이라며 한일 협력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또한, 한 일본 당국자는 차기 유력 대선 주자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관련해 “과거 반일 발언으로 경계하는 시각이 있지만 실리 위주의 현실파여서 얘기가 통할 수도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보수지인 산케이신문도 “일본 정부는 양국 관계의 변함 없는 중요성을 발신해가려는 자세”라고 보도하고 외무성 간부의 말을 인용해 정부가 “양호한 관계를 이어가고자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 언론들은 윤석열 정부가 헌재의 파면 결정으로 바뀌게 됨에 따라 양국 관계의 변화 등을 우려하며 차기 대선을 주목하고 있다. 윤 정권이 일제강점기 징용 피해 소송 해결책으로 ‘제3자 변제’ 방식의 해법을 강행하는 등 비교적 한일 관계 개선에 적극적이었기 때문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한미일 협력을 중시한 윤 대통령의 파면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로 한미일 3국 협력이 시련을 맞고 있다는 골자의 기사를 1면에 내고, 최근 한국 내 대선 후보 지지율 등을 소개했다. 또한, 사설에서는 “한국의 대통령 교체로 일본에서는 또다시 한국과 불편해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있다”며 “한국 정치인들이 한일 관계 정상화라는 큰 흐름을 견지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동미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