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징=박세희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관세 전쟁의 최종 타깃으로 주목하며 나섰지만 이미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전쟁의 포문을 연 탓에 미국이 추진해온 중국 배제 공급망 구성이 흔들리고 있다. 중국은 미국에 대해 맞보복을 하면서 유럽이나 아시아 국가들과의 연계를 강화하며 미국을 역포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해 90일간 상호관세 부과 유예 방침을 밝혔다. 대신 미국에 보복을 천명한 중국에 대한 관세는 145%까지 높였다. 관세 전쟁의 전선을 중국으로 좁힌 것이다. 중국도 이에 굴하지 않고 10일 미국에 대해 84%의 관세를 부과하며 맞불을 놨다.
트럼프 대통령의 목표는 글로벌 공급망에서 미국의 위치를 강화하는, 중국을 배제한 미국 중심의 공급망 구축이다. 과거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에서 해오던 공급망 구성을 강화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전 대통령과 달리 동맹과 우방에도 관세로 위협하며 무역 전쟁을 개시했다. 이 때문에 바이든 행정부에서 해오던 미국 중심의 공급망 구축이 토대부터 흔들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 세계 각국으로서는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을 향한 수출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단일 시장인 중국을 포기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동맹과 우방을 가리지 않고 때리는 트럼프 대통령 행보에 대중국 수출통제에 동참할 메리트도 찾기 어렵다.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예측 불가능성’ 역시 이들 국가에겐 큰 부담이다.
바이든 전 행정부의 공급망 배제 전략에 위기에 처했던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 등장 이후 러시아 등 기존 우방국들 외 미국의 동맹국인 유럽은 물론 한국, 일본 등과의 협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 관영 신화(新華)통신에 따르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8~9일 이틀간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중앙주변공작회의에서 주변국과의 ‘운명 공동체’ 구축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 전략적 상호 신뢰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을 의식해 우군을 확보하기 위한 메시지로 해석됐다.
최근 중국 지도부는 유럽연합(EU) 지도부를 비롯해 여러 유럽 지도자들과 만나며 협력을 꾀하고 있다. 최근 리창(李强) 중국 국무원 총리는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의 통화를 갖고 양측 관계를 적극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중국과 EU는 오는 7월 정상회담도 개최한다. 중국은 동남아시아, 글로벌 사우스(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발도상국)는 물론 한국, 일본에도 유화적 메시지를 잇따라 보내고 있다. 특히 중국·일본·한국 자유무역지대의 개발에 대한 의지를 적극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시 주석은 오는 14~18일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 3개국도 순방할 예정이다.
박세희 특파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