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조선업 재건 의지

 

“美 물량 감당할 나라는 韓뿐”

‘동맹 군함 건조’ 법안 통과땐

대규모 수주 기회 ‘무궁무진’

K-조선,우선 MRO입찰 노려

미국의 대(對)중국 제재 속에 미국 조선업 재건을 위한 협업 파트너로 사실상 한국이 유일한 대안으로 꼽히면서 국내 조선업계가 중장기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 선박 구입 가능성을 직접 언급함에 따라 미국 내 선박 규제 관련 법안 통과가 현실화한다면 한국에 대규모 수주 기회가 생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1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3월 전 세계 누적 수주량은 779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로, 이 중 중국이 가장 많은 380만CGT(49%)의 일감을 챙겼다. 2위는 한국으로 전체의 27%(209만CGT)를 수주했고, 3위는 일본(19만CGT·2%)이었다.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해양 패권’ 회복을 선언한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발(發) 물량을 감당할 수 있는 국가는 한국뿐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일본의 경우 건조능력·기술력 등에 있어서 한국과 비교가 어려운 수준까지 뒤처져 있다.

한·미 간 조선업 협업의 최대 걸림돌은 미국 내 규제다. 미국은 1920년 제정된 ‘존스법’에 의해 자국 안에서 건조된 선박에 한해 국내 운용을 허용하고 있어 한국에 선박을 발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미국은 존스법 개정과 함께 동맹국의 상선 건조 참여를 한시적으로 풀어주는 ‘선박법’, 미 해군 함정 건조·부품 생산 등을 허용하는 ‘해군 및 해안경비대 준비태세 보장법’ 처리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빗장이 풀리면 한국의 신규 수주 기회는 상당할 것으로 예측된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의 LNG 프로젝트와 함께 2035년까지 발주가 예상되는 미국발 LNG선은 426척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은 지난해 전 세계에 LNG선의 57.2%를 수주해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미국이 해상 지배력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글로벌 함정 건조 및 유지·보수·정비(MRO) 시장 규모도 2029년 2927억 달러(약 425조6000억 원)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박현준 나이스신용평가 기업평가본부 책임연구원은 “미국의 조선업 부흥 정책에 따라 상선 발주뿐 아니라 함정·MRO 아웃소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중국을 제외한 조선 국가 중 사업경쟁력이 우수한 한국의 중장기 성장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조선사들은 미 해군의 주력인 7함대 MRO 시장을 ‘1차 타깃’으로 노리고 있다. 다올투자증권은 7함대의 MRO 시장 규모가 2021~2023년 연평균 2억5000만 달러(3633억 원)였으며, 앞으로 2030년까지 최소 11억6000만 달러(1조6854억 원)~최대 34억3000만 달러(4조9837억 원)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동안 7함대 배속 함정에 대한 MRO는 일본 업체들이 주로 수주를 땄는데, 국내 업체들도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11월 7함대 소속 유콘호 정기 수리 사업을 수주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HD현대중공업은 지난달 진행된 7함대 소속 군수지원함 1척에 대한 MRO 입찰에 처음으로 참여해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이근홍 기자, 최지영 기자
이근홍
최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1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