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 약제 탑재’ 시스템 개발

현대모비스가 전기차 배터리에서 화재가 나면 곧바로 불을 끄는 이른바 ‘소화 약제 탑재 배터리 시스템’(사진) 기술을 개발했다.
현대모비스는 배터리셀이 발화하면 소화 약제를 자동으로 분사해 화재를 즉시 진압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내열 소재를 활용해 전기차에서 발생하는 열 폭주를 늦추는 것을 넘어 이를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배터리 시스템을 설계했다.
이 기술은 현대모비스가 기존에 제작한 배터리시스템(BSA)에 화재 진압 기능이 추가된 형태다. BSA에 탑재된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 달린 센서가 수집한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터리의 온도와 전압, 배터리 시스템 내부의 압력을 분석해 이상 징후를 판단한다. 배터리 셀에서 발화가 일어나면 약제를 분사할 위치를 정한 뒤 소화 장치 작동을 명령하는 방식이다. BSA 내부에는 일반 가정용 소화기 용량 3.3㎏의 5배에 달하는 소화 약제가 장착된다. 해당 약제는 냉각과 절연성, 침투성이 뛰어난 물질로 환경과 인체에 무해한 성분이다.
최근 유럽과 중국, 인도 등 주요 국가들은 배터리 셀의 최초 발화 후 열 폭주를 최소 5분간 늦추도록 의무화하고 있고, 일부 국가에선 열 전이 자체가 발생하지 않도록 법규를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최지영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