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징=박세희 특파원
중국이 최근 비만 문제에 대한 적극 대책 마련에 나서 주목된다.
14일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광둥성은 최근 성 소재 기업들에 의무적인 운동 휴식을 시행하거나 운동팀을 구성해 직원들이 건강을 유지하도록 독려할 방법을 찾을 것을 촉구했다.
선전에 있는 남방과학기술대는 운동과 식단을 통해 한 달 동안 누가 가장 많은 체중을 감량하는지를 겨루는 대회를 개최했다. 우승자에겐 상금과 학점 보너스가 주어져 1000명 이상의 학생과 직원이 참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보건 당국이 체중 감량 식단에 대한 지침을 발표하기도 했다. 아침 식사로 찐 달걀과 우유, 점심식사로 생선찜, 저녁 식사로 닭볶음과 으깬 감자를 권장하는 식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지난 3월 한국의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적정 체중 유지’가 주요 우선순위로 언급된 이후 더욱 강화되고 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의 레이하이차오 주임은 양회 계기로 열린 당시 민생 부분 기자회견에서 운동과 건강한 식단을 촉진하는 생활습관 개입이 비만과 관련된 만성 질환 발병을 낮추는 데 중요할 것이라며 ‘체중 관리의 해’ 행동계획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시작한 계획은 건강한 식생활과 생활 습관, 운동 등으로 국민들이 적정 체중을 유지하도록 이끄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조지타운대 국제보건학과 제니퍼 부이 교수는 “매우 중국 스타일”이라며 “정부가 ‘부모’의 역할을 하며 ‘사회적 병폐’와 싸우기 위해 전국적 운동에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 비만 관리에 중국 정부가 발 벗고 나선 것은 실제 비만 인구가 크게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두고 볼 수 없다는 판단에서 비롯됐다.
1998년 미국 국립보건원이 비만을 질병으로 선언했을 때 중국에서는 비만 인구 비율보다 영양실조를 가진 인구 비율이 더 많았지만 이후 중국이 30년 간 강력한 경제 성장을 이루면서 중국 성인의 절반 이상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이 됐다.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적절한 개입’이 없으면 2030년까지 비만 인구 비율이 전체의 70%를 초과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이로 인해 중국의 의료 시스템에서 연간 580억 달러(약 82조 원) 이상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워싱턴포스트(WP)는 추정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비만 관리 대응은 과체중에 대한 일반 시민의 인식 전환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통통한 아이가 가족 번영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비만이 부와 건강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등의 인식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움직임 속 가장 큰 승자는 체중 감량 보조제를 만드는 제약 회사일 수도 있다고 WP는 짚었다.
박세희 특파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