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평양의 한 식당 내부, 본 기사와 관계 없음.  AP사진·연합뉴스
북한 평양의 한 식당 내부, 본 기사와 관계 없음. AP사진·연합뉴스

UN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 노동자 수백명이 러시아 업체에서 일하고 있다는 주장에 제기됐다.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 강화로 UN 제재가 유명무질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15일(현지시간) 러시아 독립언론 모스코타임스는 와일드베리스의 모스크바 창고에서 북한 노동자들이 일하는 모습이 담긴 동영상이 온라인상에 공개됐다고 보도했다. 와일드베리스는 고려인 타티야나 김이 창립한 러시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다. 동영상에는 북한 노동자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보라색 와일드베리스 작업복을 입고 있는 모습이 담겼다.

와일드베리스는 이 같은 주장에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는 시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면서도 동영상에 등장하는 외국인 근로자가 북한 출신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피했다.

러시아 매체 RTVI도 최근 한 TV 프로그램에서 동일한 쇼핑몰에서 수백명의 북한 노동자들이 고용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고 보도했다.

미국 북한 전문 매체 NK뉴스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당국이 현지 건설 현장에서 북한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는 모습이 담긴 동영상을 공개했다고 전날 보도했다. 블라디보스토크 당국은 이와 관련해 “코리안들이 이곳에서 합법적으로 일하고 있다”고 언급했지만, 러시아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한국인은 없는 만큼 북한인으로 추정된다고 NK뉴스는 지적했다.

UN 회원국 내 북한 노동자 사례가 연이어 적발되는 가운데, 북한과 러시아가 밀착을 강화하면서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억제하기 위한 UN 제재가 유명무실화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앞서 UN 안보리는 2017년 대북 제재 결의 2375호를 채택해 회원국이 북한 노동자를 고용하지 못하도록 한 바 있다.

북한과 러시아가 작년 포괄적·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해 전방위 밀착에 속도를 높이는 가운데 러시아 당국이 자국 내 북한 노동자들을 공개하는 이례적 사례도 전해졌다.

러시아 외무부는 2020년 초 교통수단이 제한돼 북한 노동자 본국 송환이 어렵다고 주장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해 6월 “이주의 권리를 제재하는 것 때문에 어려운 상황에 있는 가족이 어딘가에서 돈을 벌고 아이들을 먹여 살릴 기회를 잃는다”며 안보리 제재를 비판하는 발언을 한 바 있다.

푸틴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 이후 북한군이 러시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전쟁에 자국 병력을 파견된 것으로 확인됐다.

정지연 기자
정지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