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통신·연합뉴스
AP통신·연합뉴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모교인 하버드 대학교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경 요구를 ‘불법적 억압’이라고 규정하며 정면 비판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반유대주의 근절 요구에 맞서 공개적으로 반기를 든 하버드대에 힘을 실어준 것이다.

15일 오바마 전 대통령은 X에 글을 올려 “버드는 학문의 자유를 억압하려는 불법적이고 거친 시도를 거부하는 동시에 모든 하버드 학생이 지적 탐구, 치열한 토론, 상호 존중의 환경에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구체적인 조처를 함으로써 다른 고등 교육기관의 모범이 되고 있다”며 “다른 교육기관들도 이런 행보를 따르기를 희망해보자”고 덧붙였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하버드 로스쿨을 졸업했다.

하버드대의 이번 결정을 주도한 앨런 가버(69) 총장에게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가버 총장은 전날 교내 커뮤니티에 글을 작성해 “우리 대학은 독립성이나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놓고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해온 정책 변경을 이행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어 그는 트럼프 정부가 연방 기금 지원을 유지하는 대가로 기존 요구 조건을 넘어서는 조건부 학칙 연장을 요구했다며 “이는 반유대주의를 협력적이고 건설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보여준다”고 짚었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평생 학자이자 신중한 성격을 지닌 가버 총장이 저항의 지도자가 되기에 타고난 인물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그의 대응은 민주당과 하버드 캠퍼스의 많은 사람에게 모범으로 환영받고 있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물러서지 않고 22억 달러(약 3조1천억원) 규모의 보조금을 동결한 데 이어 면세 지위 박탈까지 위협하면서 법정 공방이 예상된다. 하버드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한 한국계 허 전 특별검사와 윌리엄 버크 특별감사가 이름을 올렸다.

정지연 기자
정지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