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구역 해제 뒤 매매 늘며

3월 서울 아파트 거래 4년8개월 만에 ‘최다’

규제 재개하자 이달은 급감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부동산 정책에 시장도 요동치고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해제 영향으로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4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 과열 조짐에 정부와 서울시가 토허구역 재지정 등 정책을 번복하자 4월 거래량은 급감세로 전환하는 등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3일 서울부동산광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 3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9259건으로 지난해 7월(9223건) 거래량을 웃도는 것은 물론, 지난 2020년 7월(1만1139건) 이후 4년 8개월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신고 기한이 일주일 남은 것을 고려하면 최종적으로 집계되는 거래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서울 집값은 탄핵 정국에 한동안 잠잠했으나 토허구역 해제가 상승의 기폭제가 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재개된 규제에 시장이 즉각 반응하며 4월 거래량은 바닥까지 떨어진 상황이다. 이날 기준 4월 실거래 신고는 1619건으로,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전월 거래량의 절반에도 못 미칠 것으로 추산된다.

서울 아파트 거래 건수는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힘입어 지난해 5월 5000건, 7월에는 9000건을 넘어섰지만, 대출 규제가 강화되자 2개월 만인 9월 다시 3000건대로 하락했다.

6·17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2020년 8월에는 거래량(5153건)이 직전 월의 절반 이하 수준을 기록했던 바 있다. 당시 서울시는 6·17 부동산 대책의 하나로 강남구 청담·삼성·대치동과 송파구 잠실동 전역 이른바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을 토허구역으로 처음 지정했다.

연초 ‘상저하고’로 모였던 올해 부동산 시장 전망은 상당 부분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향후 주요 변수로는 기준금리 인하, 6월 조기 대선 결과에 따라 달라지는 부동산 정책 기조 등이 꼽힌다.

이소현 기자
이소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