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발 뗀 ‘2+2 통상 협의’

 

“관세·통화정책 등 4가지 논의”

내달 그리어 USTR대표 訪韓

 

최상목 “美, 방위비 언급 없어”

베선트 “韓과 통상협의 성공적”

“좋은 출발”

“좋은 출발”

최상목(왼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 미국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 협의’ 브리핑에 참석해 협상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워싱턴 = 민병기 특파원 mingming@munhwa.com

한국과 미국은 2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 관세 유예 기한인 오는 7월 8일까지 상호관세·품목 관세 폐지와 양국 간 산업협력 등에 대한 ‘패키지 합의’를 추진키로 했다. 한국 차기 정부 출범을 염두에 둔 ‘7월 패키지’(July Package)로, 조만간 실무협의와 5월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의 방한에서 논의가 구체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워싱턴 DC 대사관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그리어 USTR 대표와 진행한 2+2 통상 협의에서 이같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 측은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 이전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한 ‘7월 패키지’를 마련할 것과, 양측의 관심사인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환율)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해 나간다는 데 (양측의)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오늘 2+2 회의를 통해 협의 과제를 좁히고 논의 일정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협의의 기본 틀이 마련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양국은 조만간 산업부와 USTR 간 실무 협의를 통해 협의 과제와 논의 대상을 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5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15∼16일) 참석 차 방한하는 그리어 USTR 대표와 추가적인 고위급 협의를 가질 예정이다.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미·노르웨이 정상회담에 배석해 취재진에게 한국과의 협의를 “성공적”이라고 소개한 뒤 “우리는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다음 주 초 기술적 세부 사항을 논의할 수 있고 다음 주 내 양해에 관한 합의(agreement on understanding)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이 언급한 기술적 조건과 양해에 관한 합의가 무엇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최 부총리는 이날 2+2 통상 협의에서 방위비 분담금 관련 언급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민병기 특파원
민병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