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콘텐츠 15%만 경고 문구

“미디어 시대상 맞춰 법 개선을”

관리·통제 한계로 유튜브의 유해성 콘텐츠를 차단하는 데 제작자(크리에이터)의 윤리의식·태도가 가장 중요하지만 대다수 크리에이터는 관련 교육을 받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유명 유튜버들이 억대 수익을 올리고 공중파·종편 등까지 주도하면서 젊은층 중심으로 유튜브 크리에이터에 도전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관련 디지털 윤리교육은 사실상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구독자 1000명 이상 보유한 크리에이터 112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디지털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느낀다는 답변이 91.9%에 달한 반면,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전혀 없다는 응답이 전체의 85.7%나 됐다.

특히 상대적으로 많은 구독자를 확보한 유튜버일수록 수익 창출을 위해 더 많은 유해성 콘텐츠를 생산해 유튜브 유해 콘텐츠의 부정적 영향력이 매우 크다. 이하림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석사와 유홍식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가 발간한 ‘국내 유튜브 1인 창작자 콘텐츠의 내용적 유해성에 대한 분석 연구’(2017)에 따르면 문제언어·폭력성·선정성 등 유해 행위가 구독자 수가 가장 많은 콘텐츠 집단(100만 명 이상)에서는 분당 평균 4.67개, 구독자 수가 중간 정도(30만~100만 명)인 콘텐츠 집단에서는 5.12개가 발견된 반면 구독자 수가 적은(30만 명 미만) 유튜버의 콘텐츠에선 분당 1.91개 나타났다.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성인인증이나 로그인 장치는 대부분 없었고, 분석 대상 콘텐츠 중 약 15%만이 시작 부분에서 경고문을 제시하고 있었다.

해당 논문은 유튜브의 유해성 콘텐츠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막기 위한 대안으로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를 제언했다. 장기적으로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상에 맞춰 1인 창작자들이 생산하는 콘텐츠도 방송으로 취급하는 방향으로 법률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재희 기자
이재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