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北전문가와 수차례 회의
북핵·북러 밀착이 ‘대화 변수’
워싱턴 = 민병기 특파원 mingming@munhwa.com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염두에 두고 외부 전문가와 수차례 회의를 가졌다고 미국 온라인매체 액시오스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주 북한에서 미국의 이익대표국 역할을 하는 주북한 스웨덴대사도 워싱턴DC를 찾아 미국 정부 관계자들과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액시오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접촉하길 희망하는 것을 고려해 국가안보팀이 물밑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 미 정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 4년간 많은 것이 변했다”며 “우리는 (북한의 현재 상황을) 평가하고 진단하면서 관여(engagement)를 포함해 잠재적인 방안(avenue)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북한 스웨덴대사의 방미에 대해서도 한 소식통은 “주로 평양의 관여 가능성에 대한 분위기를 살펴보는 것이었다”고 전했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국무부 관계자들은 외부의 북한 전문가들과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하고 있는데 논의 주제 가운데 하나는 미·북 대화 재개 시 북한 측 대화 상대자가 누가 될지에 대한 것이었다고 액시오스는 보도했다. 두 차례 미국과 정상회담에 관여했던 이들 대부분이 숙청되거나 재교육을 받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단 트럼프 행정부도 1기 행정부 때보다 북한의 핵개발 수준이 크게 높아진 점, ‘비핵화’에 초점을 맞춘 협상에 북한이 응하기 어려운 점,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이 강해진 점 등이 향후 미·북 대화 재개의 변수라고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앤드루 여 브루킹스연구소 한국 석좌는 이 매체에 “전현직 미국 관료와 싱크탱크 전문가 간 비공개 논의 진행은 트럼프 정부가 트럼프와 김정은 간 회담을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액시오스는 향후 양국 간 회담에서 미국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공식 인정할 경우 이는 한국과 일본을 크게 우려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체 핵무기 개발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민병기 특파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