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일 등 미뤄가며 소극적 대응

내일부터 충북대 등 대상자 결정

전국 40개 의대 학장들이 오는 30일까지 수업에 불참한 학생들에게 ‘비가역적 유급’ 처분을 내리기로 했지만 미복귀 의대생들이 유급을 피할 ‘꼼수’를 동원하는 데다 일부 의대는 제적·유급 관련 학칙 적용을 미루고 있어 ‘무늬만 유급’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교육계에 따르면 28일 경북대·계명대·영남대 의대의 유급 예정일이 도래했다. 이후 29일 충북대, 30일 동국대 등도 유급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지역 A 의대 관계자는 “이날부터 대면 강의를 전면 시행하는데, 본과생 중 결석 일수가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유급 대상자가 된다”며 “개별 의대생에 대한 유급 여부를 입력해 학생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의대에선 유급·제적 처분을 미루려는 움직임도 관측돼 학생들에게 실질적 압박 수단으로 작용할지는 미지수다. 서울 소재 B 대학은 이미 유급 시한이 지났지만 시험 일자를 5월 2일로 미루며 사실상 유급 처분을 지연시켰다. 원광대 등 무단결석에 따른 제적 조항이 있음에도 적용하지 않는 의대들도 있다. 교육부가 ‘엄정한 학사일정 적용’을 재차 강조하고, 40개 의대 학장들도 ‘비가역적 유급’이란 방침을 세웠지만 일부 의대가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의료계 내부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수도권 C 의대 교수는 “내년도 증원 0명을 들어줬는데도 의대생들은 필수의료 패키지 백지화 등 과도한 주장을 하면서 복귀하지 않고 있다”며 “실습도 안 한 채 특례로 국가고시를 치르게 해달라는 건데 이는 국민 정서에 맞지 않고 이런 식으로 국민 생명을 책임지는 의사가 돼서도 안 된다”고 지적했다.

김현아 기자, 권도경 기자
김현아
권도경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