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직후부터 탄핵시위 주도

정권교체땐 지분요구 무시 못해

29일 참여연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등 진보 진영 시민단체들이 차기 정부 정책을 요구하고 나선 배경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이들의 활동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 단체가 참여한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이 12·3 비상계엄 직후부터 탄핵 촉구 시위를 주도해온 만큼, 정권 교체가 이뤄질 경우 시민사회의 지분을 무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시민사회계에 따르면 비상계엄 이후 참여연대와 민주노총,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등 1700여 개 시민사회·노동단체가 참여했던 비상행동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내란청산·사회대개혁 비상행동’으로 이름을 바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 단체는 4개월가량 진행된 탄핵 국면에서 매일 촛불문화제를 개최하고, 매주 토요일 범시민대행진을 여는 등 거리에서 탄핵 여론을 집중적으로 조성해 왔다.

비상행동과 함께 탄핵 찬성 집회의 한 축을 이뤘던 촛불행동은 최근에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을 심리하는 대법원 인근에서 ‘전국 집중 촛불대행진’을 열고 “대법원은 대선 개입을 중지하라”며 민주 정부 건설과 내란 세력 청산을 주장했다. 이 단체는 윤 전 대통령 사저 인근인 교대역에서 주말 집회를 진행하는 등 활발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일각에선 이들의 활동이 시민사회의 영역을 넘어 민주당을 측면 지원하는 사실상의 정치 단체로 변모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김형준 배재대 석좌교수는 “진보 시민단체들은 특정 정당의 대변인처럼 활동하고 있다”며 “내란죄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이뤄지기도 전에 내란종식 특별법을 제시하는 것은 정치의 사법화, 사법의 정치화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허창덕 영남대 사회학과 교수 역시 “탄핵 이후 사회갈등 통합이 가장 큰 과제인데, 차기 정권에 정책을 들이밀면서 여론을 조성하는 건 갈등을 조장하고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키는 정치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재희 기자, 김린아 기자
이재희
김린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