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예산 작년보다 7%↑

정부가 제조업 기반인 ‘뿌리산업’ 육성을 위해 전년보다 7%가량 늘어난 684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2025년 뿌리산업 진흥 실행계획’을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뿌리산업은 △주조·금형·소성가공·용접·표면처리·열처리 등 6대 기반 공정산업 △사출·프레스 등 소재 다원화 공정산업 △로봇·센서·산업지능형 소프트웨어(SW) 등 지능화 공정산업 등의 3개 부문 14대 업종을 의미한다. 지난 2023년 기준으로 뿌리산업의 사업체 수는 6만4000개, 종사자는 74만 명, 매출액은 255조 원으로 추산된다.

이번 실행계획은 2023년부터 오는 2027년까지 추진하는 ‘제3차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의 연차별 이행방안으로, 산업부를 비롯해 중소벤처기업부·고용노동부·교육부 등 관계부처가 협업해 수립했다. 정부는 올해 지원 예산은 전년보다 7% 늘렸고 △인력 확보와 기업 성장 △기술 혁신과 공정 지능화 △산업 생태계 강화 등 3대 전략을 중심으로 실행계획을 이행한다.

우선 뿌리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인력 확보를 위해 청년층 대상 채용 매칭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현장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을 4곳 추가로 지정하기로 했다. 외국인 기술 인력 양성대학도 올해 2곳 이상 신규 지정된다.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뿌리기업을 위해 정책자금 우대 및 긴급 경영 안정 자금 지원을 제공한다.

아울러 기술 혁신으로 첨단·주력 산업에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차세대 공통·핵심 뿌리기술 15개를 올해 8개를 시작으로 6년간 개발해 보급할 방침이다. 뿌리 공정이 지능화될 수 있도록 제조 공정 자동화, 지능형 공정 전환, 로봇 도입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경기 시흥시(공정 혁신 시뮬레이션) △경북 구미시(금형) △경북 성주군(열처리) 등에 디지털 전환 기술지원 거점이 구축될 예정이다. 정부는 지역산업 연계를 지원하는 등 지역 생태계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전세원 기자
전세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