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업 거부 유급 시한 ‘디데이’
연대 등 본과생 유급 확정해 통보
일부 학교는 학칙 적용 미루기도
내년 ‘1만명 동시수업’ 우려 커져
30일 전국 대다수 의대의 유급 시한이 끝나는 가운데 이날까지 수업에 불참하는 의대생들은 집단 유급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의대생 수업 참여율은 약 26%에서 오르지 않아 약 70%의 의대생이 유급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본과생의 경우 대면 실습이 가장 중요한데 1학기 말까지 차질 없이 마치려면 다음 달 초엔 수업이 정상화돼야 하지만 이마저 요원한 것으로 관측된다.
교육계에 따르면 이날 연세대는 진급사정위원회에서 본과생의 유급을 확정하고 예과생은 학사경고 할 방침이다. 충남대는 이날 모든 학년의 유급 시한이 도래한 만큼 유급 예정 통보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성균관대와 아주대는 각각 지난 1일과 11일까지 수업에 미복귀한 학생을 유급 처리하기로 했다. 가천대는 21일 유급 예정 대상 학생들에게 개별 통보했다. 한양대는 22일까지 수업에 불참한 학생은 전원 유급 처리하기로 결정했다. 영남대는 28일 전체 의대생에게 수업에 불참할 경우 유급 처리될 수 있다고 안내했다.
다만 유급 시한이 지났다고 해서 바로 유급 처리되는 것은 아니다. 이의신청 기간, 진급사정위원회 등 행정적 절차로 인해 학기 말이나 학년 말에 최종 확정된다. 이에 아직 학생들에게 개별 통보를 하지 않은 대학들도 있다. 일부 의대는 유급·제적 학칙 적용을 미루고 있어 ‘무늬만 유급’ 우려도 나온다. 가톨릭대와 원광대 등은 시험 일자와 개강 시기를 미뤄 유급 처분 시기를 늦췄다.
이날 교육부는 의대 학장단과 만나 향후 계획과 복귀 의대생 보호 방안 등을 논의한다. 앞서 전날 교육부는 전국 40개 의대에 이날까지 미복귀 의대생에 대한 유급 처분 여부를 확정하라고 공문을 보냈다.
올해 1학기 집단 유급이 현실화되면 24·25학번은 내년도 신입생과 함께 1학년 수업을 받아야 한다. 이미 동아대 등 일부 대학은 26학번에게 수강신청 우선권을 주도록 학칙 개정에 나섰다.
강경파 의대생들은 6·3 대선 전까지 버티면서 정부로부터 최대한 양보를 얻어내 차기 정부에 대한 협상력을 키우자고 주장하고 있다. 교육부도 수업 정상화 관련 원칙을 수차례 훼손해 의대생들은 이번에도 학사 유연화로 구제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주요 의대 A 교수는 “강경파 의대생들 탓에 (수업 복귀 등) 발전적 대안이 잠식당하고 있는데, 이들은 어느 정당이 집권해도 받아들이기 힘든 주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채 학사 유연화 등으로 특혜를 더 누리겠다는 건 상식에도 벗어난다”고 지적했다.
권도경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