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자체 관광활성화 제도 도입
전남 3년새 발급자 56만명
방문 79%·기부 19% 달해
강원 135곳 최대 50% 할인
제주는 항공·선박권 등 적용

무안=김대우 기자 전주 = 박팔령·춘천 = 이성현 기자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관광객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랑도민증’ ‘생활도민증’ 제도를 잇달아 도입하고 있다. 도민증을 발급받은 출향민 등 외지인에게 관광지·음식점·숙박시설 할인 혜택을 줘 지역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방문·체류 인원을 늘리려는 전략이다.
이 제도를 시행 중인 일부 지자체의 경우 실제 지역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 방문객이 늘고 소비활동과 고향사랑기부금 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전남도는 지난 2022년 ‘전남사랑도민증(전남 사랑애(愛) 서포터즈)’ 발급을 시작해 이달 현재 발급자가 56만5862명에 달한다. 도민증 발급자는 전남도 내 가맹점 608곳에서 최대 5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도 분석 결과 도민증 발급자는 인접 광주 거주자가 32.7%(18만4989명)로 가장 많지만, 경기 19.2%(10만8515명)·서울 16.0%(9만652명)·인천 3.9%(2만2014명) 등 수도권 거주자가 전체의 39%(22만1181명)를 차지했다. 또 도민증 발급 후 79.7%가 전남을 방문했고, 방문자 34.2%는 2박 3일간 머물렀으며 23.9%는 체류 중 25만∼50만 원을 쓴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도민증 발급자 19%는 고향사랑기부에도 참여해 전남도가 2023년(145억 원)·2024년(187억 원) 2년 연속 모금액 전국 1위를 달성하는 원동력이 됐다. 도는 오는 2028년까지 전남사랑도민증 100만 장을 발급할 계획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올해 수도권과 MZ세대를 타깃으로 전남 사랑운동을 더 확산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도는 2023년 7월 ‘전북사랑도민증(전북프렌즈)’을 도입해 현재 8400명이 발급받았다. 향후 1년 내 발급자 10만 명, 할인가맹점 300곳 확보가 목표다.
도는 전북사랑도민증을 중심으로 지역 농·축·수산물 소비촉진, 관광활성화, 고향사랑기부제 참여 확산 등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2036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전국적인 열기를 조성해 전북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제주도는 2010년부터 출향민 11만6500명에게 제주도민증을 발급했다. 이들에게 항공·선박권 할인(5∼30%)을 비롯해 골프장, 관광지 등에서 제주도민과 동등한 할인 혜택을 주고 있다. 도는 관광수요 창출을 위해 ‘디지털 관광도민증’ 발급도 추진 중이다.
강원도는 5월부터 도내 135개 숙박·식음료·관광시설에서 최대 5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강원생활도민증’을 발급한다. 도 관계자는 “체류인구 증가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때”라며 “도민증 발급으로 강원도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김대우 기자, 박팔령 기자, 이성현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