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록담 부근의 2.3㎞ 모래밭

“화산 지질학적 가치 매우 커”

검은색 현무암으로 대표되는 제주도에 밝은색의 유문암으로 이뤄진 구역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다. 국가유산청은 제주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내에 있는 ‘한라산 모세왓 유문암질 각력암지대’(사진)를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1일 밝혔다.

‘모세왓’은 모래(모세)와 밭(왓)이 합쳐진 제주 방언이다. 한라산 백록담 외곽 기준으로 약 2.3㎞ 구간에 걸쳐 있는 이곳은 크기가 제각각인 유문암질 암석 조각들이 서로 맞물려 넓게 분포하고 있다. 널린 암석들이 마치 모래밭을 연상시켜 이름 붙여졌다. 유문암은 이산화규소(SiO₂) 함량이 높은 화산암으로, 색이 밝고 알칼리 장석과 석영이 주성분을 이룬다. 각력암은 각이 진 자갈 형태의 암석을 뜻한다.

학계에서는 각력암지대가 지금으로부터 약 2만8000년 전 소규모 용암돔(분출된 용암류가 만들어낸 화산암의 언덕)이 붕괴하며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해당 지형이) 화산재해 예측, 마그마 분화과정 연구 등에 있어 화산 지질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유문암질 각력암이 “지금까지 확인된 제주 화산암 중 가장 분화된 형태”라고 말했다. 마그마는 고온에서 점차 식으며 암석으로 결정화되는데 그 속도에 따라 현무암질, 안산암질, 유문암질 순서로 성분이 바뀐다. 그동안 제주도에는 가장 빠르게 식으며 생성된 현무암질 암석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한라산 모세왓 유문암질 각력암지대를 통해 유문암질 암석의 존재가 처음 알려졌다.

장상민 기자
장상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