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협상론 일축
대다수 의대가 30일 자정 기준으로 수업에 복귀하지 않은 의대생들을 상대로 유급 명단을 확정한 데 이어 교육부가 연휴 직후인 7일 전국 의대 유급자 규모를 취합하는 등 후속 절차에 들어간다. 의대생 10명 중 약 7명이 복귀하지 않은 배경엔 수업 거부로 새 정부와의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강경 기조가 주효했는데, 의대 학장들은 새 정부의 구제설에 대해 ‘헛된 기대’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1일 교육계에 따르면 각 의대는 오는 7일 교육부에 유급 확정 통보 인원 등을 제출한다. 교육부는 통상 학기 말과 학년 말에 열리는 유급사정위원회를 최대한 이른 시일 내 개최해달라고 각 의대 측에 요청했다. 이는 유급 대상자를 조기 확정하기 위해서다. 유급이 확정된 의대생들은 올해 복귀가 불가능한 만큼 내년 1학기가 돼야 수업을 들을 수 있다.
교육부 취합 결과가 나오면 각 의대는 트리플링 대책을 확정 지을 예정이다. 이미 동아대와 전북대는 수업 거부 중인 24·25학번보다 26학번에게 수강신청 우선권을 주는 등 학칙을 개정했다. 의대 결손 인원에 대한 편입학 관련 규정을 완화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상당수 대학은 학칙상 유급이 2∼4회 누적되면 제적하게끔 돼 있어 제적생이 속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일부 대학은 의대 편입학 요건을 완화해달라고 교육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는 데는 의대생단체가 새 정부와의 협상을 겨냥해 강경 기조를 유지한 탓이 크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 학사 유연화 등을 통해 유급 대상자를 구제할 것이란 루머도 한몫했다. 이에 대해 의대 학장 등은 전날 입장문에서 “확인되지 않고, 확인될 수도 없는 헛된 기대”라고 선을 그었다. 새 정부에서 의대 증원 문제를 다룰 보건복지부와 교육부 장관 취임은 청문회 일정을 감안하면 7월 이후로 예측된다. 의대 학장들은 “의대생들이 7월이나 8월 복귀한다면 이미 1학기 교육과정이 끝난 후라 2학기에 별도 교육과정을 만들 수 없다”고 밝혔다.
권도경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