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걸이 통한 청탁 의혹 관련

연관성 확인땐 피의자 전환

 

경찰, 문정부 특활비 의혹 겨냥

‘김정숙 옷값’ 강제수사 착수

‘건진법사’ 전성배(65) 씨의 청탁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서초동 사저와 지하 코바나컨텐츠 사무실, 수행비서 집 등을 압수수색해 확보한 증거물 분석에 나섰다. 청탁의 핵심 증거로 거론되는 고가의 목걸이·명품백 등은 발견하지 못했지만, 수사 진전에 따라 참고인 신분인 김건희 여사가 피의자로 전환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경찰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의 옷값 특수활동비 결제 의혹에 대한 강제수사에도 착수했다.

1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부(부장 박건욱)는 30일 이뤄진 압수수색에서 ‘그라프’(Graff)사 목걸이와 샤넬백, 인삼주의 행방을 찾으려 한 것으로 전해졌다. 법원이 발부한 영장에도 해당 물품이 적힌 것으로 확인됐다. 통일교 전직 간부인 윤모 씨가 20대 대통령 취임식 초청, 캄보디아 메콩강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지원 등을 노리고 전 씨를 통해 김 여사에게 고가 명품을 건넸다는 혐의다.

검찰은 6시간 40분가량 진행된 압수수색에서 해당 물품은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김 여사의 휴대폰과 메모장 등을 확보해 향후 포렌식을 통해 김 여사가 전 씨와 나눈 대화 내역 등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압수물 분석에서 전 씨와 김 여사의 연결고리가 드러난다면 참고인 신분인 김 여사가 피의자로 전환될 수 있다. 김재윤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연관 관계가 확인된다면 김 여사는 바로 피의자로 신분이 전환돼 뇌물죄 등 혐의로 입건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 씨는 윤 전 대통령이 2021년 공식 대선 캠프를 꾸리기 전부터 선거 준비를 위해 비공식적으로 ‘양재동 캠프’를 운영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해당 캠프는 윤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된 후에는 ‘네트워크본부’라는 공식 조직으로 이름만 바꾼 채 활동을 이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기관의 칼날은 윤 전 대통령뿐 아니라 문 전 대통령의 부인으로도 향하고 있다. 서울경찰청 반부패수사대는 지난달 10일 세종시 대통령기록관에 압수수색 영장을 제시하고, 기록관 측과 압수 물품 및 범위 등을 논의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경찰은 문 정부 관계자를 조사하며 국가 예산으로 편성된 특활비로 김정숙 여사 옷값을 치렀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문 정부 청와대는 “정부 예산을 사용한 적 없고 사비로 부담했다”는 입장을 낸 바 있다.

노수빈 기자, 조율 기자
노수빈
조율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