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전쟁’ 수출 돌파구 찾아라 - (4) 새로운 벨트 ‘글로벌 사우스’

 

각국과 경제동반자협정 맺어

한국의 수출·생산 기지 삼고

자원 부국과 협력 기반 마련

핵심광물 공급망 다변화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각종 관세 부과 정책과 이에 대한 중국의 맞대응으로 한국의 1·2위 수출 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수출 다변화의 중요성도 부상하고 있다. 이미 정부는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들)를 중심으로 한 공급망·수출 등 새로운 통상 전략을 마련해 온 만큼 이번 불확실성 위기에 더욱 적극적으로 글로벌 사우스를 활용해 수출 다변화에 나서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8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에 앞서 발표한 ‘통상정책 로드맵’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가 글로벌 사우스였다. 이미 한국과 활발히 교역하고 있는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을 비롯해 신흥국이 몰려 있는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등과의 경제 협력도 강화한다는 것이다. 글로벌 사우스에 해당하는 국가는 아시아·아프리카·중동 지역의 120여 개국에 달한다.

실제 산업부는 세계 10대 자원부국인 몽골을 비롯해 파키스탄·방글라데시 등과의 경제동반자협정(EPA) 협상으로 ‘서남아 통상벨트’를 구축하는 동시에 탄자니아·모로코 등과의 EPA 협상 추진으로 아프리카와의 협력 기반을 마련한다는 복안을 세웠다. 글로벌 경제·무역에 있어 전략적 균형추로 부상하고 있는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 협력을 강화해 한국의 수출·생산기지·핵심광물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주요 자원보유국과 광물 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한다는 계획도 통상정책 로드맵에 포함돼 있다.

지난해 역대 최초로 개최한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와 ‘한-중앙아 K-실크로드 협력 구상’ 등도 이 같은 전략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정부 관계자는 “글로벌 사우스는 이제 원조 대상이 아니라 경제 협력 파트너로 떠올랐다”며 “이들 국가는 이제 자원 수출을 넘어 제조업과 서비스 산업도 성장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유럽과 아프리카로 향하는 길목에 위치한 중동 역시 글로벌 사우스 정책에 필수적이다. 정부는 이미 지난 2023년 중동 주요국가들의 협의체인 걸프협력회의(GCC) 와 자유무역협정(FTA)을 타결한 상태로, 해당 FTA가 발효되면 교역·투자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관세 정책과 이에 따른 미·중 마찰이 고조되면서 신흥국 시장을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전날 공개된 미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미국의 전체 상품 수입 가운데 중국산 비중은 11%였으며 이는 최근 20년 사이 가장 낮은 수치다. 미국에서 저가의 중국산 상품 수입이 줄어들면 이를 대체할 신흥국으로부터의 상품 수입이 늘 수밖에 없다.

이를 한국 수출업계가 직접 대체할 수도 있지만 신흥국 시장과의 협력으로 공급망 활용 및 해외생산 등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다. 산업부 통상정책자문위원회 공동위원장인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미국의 제조업 기반이 이미 약화돼 있는 상태인데 관세 전쟁을 벌이면서 중국과는 전략적으로 디커플링을 해야 되는 상황”이라며 “그런 차원에서 세계 많은 나라가 미국에 수출을 해 왔는데 각국의 대표 수출 상품·서비스 같은 것들이 차질을 빚게 되고, 거기에 우리로서는 상당한 기회 요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준희 기자, 구혁 기자
박준희
구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