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학생대표 40인 자퇴결의에

커뮤니티 연판장 돌리며 부채질

의대를 둔 40개 대학이 교육부에 의대생 유급·제적자 명단을 제출하면서 1만 명 이상 대규모 유급 사태가 현실화하고 있지만, 일부 강성 의대생들이 ‘자퇴 릴레이 추진 시 동참 의사’를 묻는 글을 올리는 등 선동에 나서고 있다. 여야 대선 후보들이 ‘현 정부 의료개혁 무효화’에 방점을 찍는 글을 연이어 올리자 의대생 단체들이 현 정부 패싱·대선 국면 투쟁 지속 의지를 불붙이는 모양새다.

8일 교육계에 따르면 일부 의대생들은 대학 커뮤니티에서 자퇴 결의에 나선 의대생 대표들과 함께하겠다는 연서명을 돌리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전날 학생대표 40인의 자퇴원서를 각 학생회에 공유하며 미복귀 학생들에 대한 제적 처리가 실행되면 자퇴서를 학교에 제출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러자 일반 학생들 사이에서도 지지 의사 표명을 위한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한발 더 나아가 “(일반 학생들까지) ‘자퇴 릴레이’가 추진되면 동참할지” 묻는 글도 올라온 것으로 파악됐다.

한 의료계 인사는 “정부의 유급·제적 확정 소식에 다소 주춤했던 강경파 학생들이 의대협의 자퇴 결의를 계기로 다시 단결하는 모양새”라고 말하기도 했다. 실제로 전날 각 대학이 교육부에 유급생 명단을 제출했지만, 제적 위기 의대생을 제외한 일반 유급생의 복귀는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의대생 1만9760명 중 70%에 육박하는 1만 명 이상의 유급이 사실상 확정됐다.

대선후보들이 의대생 수업 복귀를 요청하면서도 현 정부의 의료개혁 실패를 시인하고 책임자 문책을 거론하면서 의대생들은 이를 오히려 투쟁 동력으로 삼는 모습이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7일 페이스북에 “현 정부가 추진했던 의료개혁을 원점 재검토하겠다”면서 “필요하면 의료계와 국민의 신뢰 회복을 위해 정부조직을 개편하고 책임자 문책도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도 “모든 혼란은 윤석열 정부의 과오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책임자 문책”을 들고나온 바 있다. 이에 의대협은 성명에서 각 대선후보의 이름을 거론하면서 “정부와 달리 대선후보들이 문제해결 의지를 보여준 데 대해 감사하다”며 투쟁을 이어갈 것임을 밝혔다. 대학가에선 강경파 의대생들이 차기 정부와 협상해 의료계에 유리한 국면을 이끌어내고 유급·제적 등에 대한 학사 유연화 조치 시행을 목표로 투쟁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인지현 기자, 김현아 기자
인지현
김현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