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11일 중앙선거대책위원회에 조국혁신당(12석)·진보당(3석)·기본소득당(1석)·사회민주당(1석)의 대표를 공동 위원장으로 포함시켰다. 이들 4개 정당은 지난 9일 독자 후보를 내지 않고 이재명 후보를 지지한다고 공동 선언했다. 0.73%포인트 차이로 패했던 3년 전 대선 당시 심상정 정의당 후보 득표율이 표차의 3배를 넘는 2.37%였는데, 이번엔 그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는 전략일 것이다. 지난해 국회의원 총선에서도 유사한 일이 있긴 했다. 위성정당 ‘더불어민주연합’(혁신당은 별도)으로 통합했다가 의석을 확보한 뒤 소속 정당으로 돌아갔다. 이때도 ‘무원칙 야합’ 지적이 일었는데, 이번 경우는 차원이 다르다. 집권하면 행정권력도 분담하는 식으로 국정을 공동 운영하겠다는 의미로 보이기 때문이다.

진보당은 통합진보당의 후신이다. 김재연 상임대표는 “내란 세력에 맞서겠다”고 했는데, 누가 진짜 내란 세력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통진당은 경기동부연합 등 종북 주사파로 분류되는 민족해방(NL)계가 다수였다. 2013년 8월 내란 선동 사건으로 이석기가 구속됐고, 2014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정당 결정으로 해산됐다. 간판을 바꿔 달았지만, 여전히 국가보안법 철폐·한미동맹 해체를 주장하고 잇단 간첩단 사건에 연루돼온 정당이다. 민주당은 공동 선언에서 기업지배구조 개선, 노동기본권 등 좌파 공약을 대거 수용했다. 민주당은 ‘진짜 내란 정당’과 손잡고 국정을 운영하겠다는 것인지, 명확히 입장을 밝혀야 할 때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2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