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지방 공급 양극화 심화

전국 건축 착공 실적이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서울·수도권에 집중되고 지방은 되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회복세조차도 공사비 급등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최악의 건설 경기를 기록했던 지난 2년간을 고려할 때 기저효과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온다. 향후 수년간 신규 주택 공급 절벽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12일 국토교통부 3월 시도별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 현황에 따르면 서울은 25만5000㎡로 전년 동월(2만3000㎡) 대비 10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2년 전인 2023년 3월 서울의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은 7만5000㎡로, 3년 만에 서울의 건축 착공이 활기를 띠고 있는 셈이다. 경기도 역시 지난해(32만6000㎡) 대비 3배 가까이로 증가한 93만4000㎡의 착공 면적을 기록했다. 다만 2023년 3월 146만1000㎡ 대비 다소 줄어든 착공 면적을 유지했다.

반면 서울·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의 다른 시도에서는 건축 착공 면적이 대폭 감소 추세다. 부산은 지난 3월 건축 착공 면적이 23만8000㎡로 지난해 67만9000㎡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고, 광주는 4000㎡로 지난해 6만9000㎡ 대비 17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경남 제주 충남 충북 대전 등에서도 건축 착공 면적이 급감했다.

전국의 건축 착공 면적이 190만2000㎡로 지난해 167만2000㎡ 대비 13% 넘게 늘었지만, 회복세가 전체 건설 경기 회복을 견인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는 배경이다. 건설 업계 관계자는 “착공이 느는 건 지난 2년간 공사비 폭등과 고금리로 삽을 뜨지 못하다가 서울·수도권 일부 지역의 아파트값이 고공행진을 하면서 사업성이 일부 개선된 덕분”이라며 “하지만 소수 지역에 국한된 상황이고 서울에서도 외곽 지역이나 대다수의 지방 도시들은 여전히 착공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영주 기자
김영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