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서 21개국 고용노동장관회의
저출생·고령화 유연 대응안 모색
지난 2014년 베트남 회의 이후 11년 만에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고용노동장관회의 키워드는 ‘인공지능(AI)’ ‘저출생·고령화’였다. 대응 방향은 노동시장 유연화에 맞춰졌다. 베트남 회의 당시 ‘여성’ ‘청년’ 등 노동시장 약자에 초점이 맞춰진 것과 비교해 10여 년 만에 주요 국가들의 노동시장은 급변했다.
이번 APEC 고용노동장관회의는 21개 회원국의 고용노동 관련 수석대표가 참석해 11일부터 13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한 노동시장과 일자리’를 주제로 △유연하고 활력있는 노동시장 △미래일자리 대응과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등을 논의했다. 의장국인 한국의 김민석 고용노동부 차관은 개회사를 통해 “급변하는 노동시장 환경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해 일자리 격차를 줄여야 한다”며 “AI 확산과 디지털 전환, 저출생·고령화 등으로 산업 및 인구구조가 급변함에 따라 노동시장 불확실성과 미래 일자리 불안은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전날 21개 회원국이 합의해 마련한 공동성명에도 △노동시장 구조적 변화 대응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일자리 격차 완화를 위한 활력있는 노동시장 구축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확대 △일자리 안전망 강화 및 회원국 간 협력방안 등이 담겼다. APEC 고용노동장관회의는 매번 ‘양질의 일자리 제공’을 강조하는데, 올해는 AI 대응이 주를 이뤘다. 김 차관은 “AI 시대에 산업 전환은 기존 업종의 일자리 충격완화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중요하다”며 “기존 일자리를 갖고 있는 근로자들에겐 직무 전환을 지원하고 청년층은 새로운 업종 진입을 위한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노사정 협의체를 통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APEC 회원국 상당수는 생산가능인구 감소를 공통의 문제로 인식했다. 참가 회원국 중 13개 국가는 지난 베트남 회의 당시보다 생산가능인구가 1~7%포인트 감소했다. 일본은 2000년대 초에 견줘 9.4%포인트 줄었다. 이날 김 차관은 일본의 세이지 다나카 후생노동성 차관과 양자회담을 가졌는데, 양측 모두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를 위한 협력 필요성에 공감했다. 계속고용 제도 등 고령사회 대응정책과 고령친화적 일자리 확대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한편, 이번 회의에선 한국이 제안한 ‘APEC 지속가능한 일자리 포럼’ 신설에도 경제체들이 합의했는데 오는 2026년 서울에서 처음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정철순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