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산업포럼 2025
‘무역전쟁과 국가 생존전략’
27일 FKI타워서 포럼 개막
차이나테크 글로벌 패권 위협
中 거대언어모델 80여개 승인
커넥티드카·휴머노이드 확장
작년 국가 R&D 713조로 늘어
‘7S 전략’보조금·공급망 집중
“韓, 첨단 산업 규제 완화 시급
반도체 등 안보문제 격상해야”

중국이 인공지능(AI)·반도체 등 미래 첨단 기술에 대한 천문학적인 투자를 통해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의 최종 승자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빅테크(거대기술기업) 주도로 성장하기 시작한 생성형 AI 기술 수준은 이미 중국이 미국과 한국 등 주요 국가를 넘어섰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전문가들은 첨단 기술 분야 투자와 산업 발전을 가로막는 각종 규제 문제를 국가안보 문제로 격상, 기술 격차를 줄이는 데 범국가적 차원의 총력을 기울일 때라고 강조한다.
14일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4∼2023년) 중국의 생성형 AI 특허 출원 수는 총 3만8210건으로 미국(6276건)·한국(4155건)·일본(3409건)·인도(1350건) 등 주요 국가 대비 최소 6배 이상 수준으로 파악됐다. 중국 정부는 AI 산업 육성을 국가적 과제로 삼고 ‘AI+산업’ 전략을 통해 제조·에너지·교육·의료·로봇 등 핵심 산업에 AI 기술을 융합한 정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지난 3월 열린 중국 최대 정치행사 양회에서는 ‘체화지능’(Embodied Intelligence)을 핵심 기조로 설정하고 커넥티드카·AI 스마트폰·휴머노이드 로봇 등으로 기술 활용 범위를 확장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각종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80개 이상의 AI 거대언어모델(LLM)이 공식 승인됐는데, 이는 중국이 다수의 거대 AI 모델을 보유한 ‘AI 강국’으로 거듭나고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중국의 빠른 기술 발전 속도는 정부와 기업의 대규모 연구·개발(R&D) 투자가 뒷받침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해 총 국가 R&D 규모는 3조6130억 위안(약 713조 원)으로 파악됐다. 중국 R&D 규모는 지난 2021년 2조7956억 위안에서 2022년 3조783억 위안, 2023년 3조3357억 위안으로 증가세가 가파르다. 중국 기업들의 R&D 투자도 이미 글로벌 수준이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발간한 ‘R&D 스코어보드’ 자료를 보면 2023년 기준 전 세계 R&D 금액 상위 2000개 기업 중 미국 기업이 681개로 가장 많았고, 중국은 524개로 2위를 차지했다.
중국 ‘기술 굴기’ 선봉장에 선 기업으로는 화웨이가 꼽힌다. 중국 인민해방군 출신인 런정페이(任正非)가 1987년 설립한 화웨이는 전화교환기를 판매하다가 사업 분야를 통신장비와 스마트폰, 반도체 등 첨단 기술 분야로 확장하고 있다. 화웨이는 올해부터 AI 칩 ‘어센드 910C’를 대량 출하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어센드 910C는 미국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칩 ‘H100’과 맞먹는 성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는다. 올 하반기에는 반도체 미세공정의 핵심인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계획도 밝혔다. EUV 노광 장비는 반도체 웨이퍼에 미세하고 복잡한 전자 회로를 인쇄하는데, 네덜란드의 ASML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최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테크 콘퍼런스에서 “화웨이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기술 기업 중 하나”라며 경계심을 드러냈다.
중국이 첨단 기술 발전에 속도를 낼 수 있었던 요인으로는 정부의 ‘7S’ 전략이 꼽힌다. 7S 전략이란 △공과대학 출신 리더들의 공부(Study) △일관성 있는 과학기술정책(Strategy) △강력한 연구·개발(Strong R&D) △파격적인 보조금(Subsidy) △거대한 시장(Size) △중국식 공급망 생태계(System) △과학기술 인재(Science Manpower)를 말한다. 중국이 앞으로도 정부 주도의 강력한 과학기술정책 추진과 민간 기업의 역량을 결합, 글로벌 기술 지배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가적 차원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은 “정부의 반도체 보조금은 국방비에 준하는 수준으로 확대하고, AI 국가펀드를 만들어 중국과의 기술 격차를 좁혀야 한다”고 말했다.
김호준 기자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