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원호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은 14일 “설계 단계부터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이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목표 달성의 가장 빠른 길”이라며 “상용화가 늦어지지 않도록 규제기관으로서 역할도 적극적으로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이날 최 위원장이 대전 유성구 인터시티호텔에서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개발자 라운드테이블’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기술개발사업단 및 설계·제작업체 등 i-SMR 개발자들의 의견을 듣고 이를 안전규제 체계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원안위는 2026년 표준설계인가 신청을 목표로 정부가 개발 중인 i-SMR의 허가 신청에 대비해 지난 2022년 9월부터 구성된 ‘i-SMR 사전설계검토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협의체는 개발자가 제출한 7종의 기술보고서에 대한 검토보고서를 지난해 제공했고, 현재 기술보고서 10종을 검토하고 있다. 협의체에는 원안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소형모듈원자로규제연구추진단, i-SMR 개발자 등 규제기관과 개발자들로 구성됐다.
이날 간담회에서 개발자 측은 i-SMR 개발 현황과 추진 계획등을 발표하고, 신속한 인허가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 위원장은 “SMR 규제체계 확립에는 규제기관과 개발자 사이의 긴밀한 소통이 매우 중요하다”며 “오늘 논의 과정에서 제시된 의견을 i-SMR 규제체계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원안위는 최 위원장이 이날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의 i-SMR 시뮬레이터 센터와 SMR 기반 스마트넷제로시티(SSNC) 관제센터를 방문, 개발 현황과 주제어실 비상대응 준비 현황 등도 점검했다고 밝혔다.
구혁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