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서울 시내 은행 ATM 모습.
지난 5일 서울 시내 은행 ATM 모습.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5조 원 넘게 급증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해제 여파로 주택 거래가 늘어나면서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도 뒤따라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가계대출은 이달까지 상당 폭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월 말보다 4조8000억 원 많은 1150조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증가 폭이 3월(1조6000억 원)보다 3조2000억 원이나 많고, 지난해 9월(5조6000억 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3조7000억 원,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이 1조 원 불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2∼3월 주택 거래가 늘어난 영향이 4월부터 주택담보대출에 본격적으로 나타났고, 1분기 상여금 유입 효과 등이 없어지면서 신용대출도 늘어 전체 가계대출이 4월 상당 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3월 주택 거래가 많았기 때문에 2∼3개월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에 반영되는 점을 고려하면 5월 가계대출에 많이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차장은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을 앞두고 선수요가 발생할 가능성도 금융 당국과 함께 살펴보고 있다”며 “경계를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다만 3월 하순 토허구역이 확대 및 재지정되면서 서울 주택시장이 다소 진정된 만큼, 가계대출도 시차를 두고 점차 진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이날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4월 5조3000억 원 늘었다. 3월 증가 폭(7000억 원)의 7배가 넘는 규모다. 은행 (4조8000억 원)이 증가를 주도했고, 2금융권도 5000억 원 증가하며 한 달 만에 도로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사이 4조8000억 원 불어 3월(3조7000억 원)보다 증가 폭이 커졌고, 신용대출도 1조2000억 원이나 뛰었다.

김지현 기자
김지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