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감수사 선거후 미루는 관행에

대선 이후에 신병확보 가능성도

검찰이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 관련 공천개입 의혹 등을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에 대해 조만간 2차 소환 통보를 검토하고 있다. 법조계에서는 검찰이 김 여사에게 2∼3차 소환 통보를 한 뒤 응하지 않을 경우 대선 이후 신병 확보에 나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5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김 여사 측으로부터 제출받은 불출석 사유서를 검토하고 2차 소환 통보 여부를 고심하고 있다. 검찰은 김 여사에게 전날 오전 9시 검찰청사로 출석할 것을 요청했지만 김 여사는 ‘대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로 나타나지 않았다.

법조계는 검찰이 체포영장을 발부·집행에 나서기 전까지 김 여사가 모습을 드러내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수사기관은 피의자가 출석 요구에 불응하면 체포영장을 청구해 신병을 확보하는데, 체포영장 청구 전 3회 정도 소환을 통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검찰이 2·3차 소환 통보 후 김 여사 체포에 나서면 6월 3일인 대선일을 넘길 가능성이 크다. 또 그동안 정치적으로 민감한 수사는 선거기간 하지 않는다는 암묵적 관행도 대선 이후 신병확보 가능성을 높인다.

다만 대선 이후 이른바 ‘김건희 특검법’ 통과 가능성이 커 검찰도 김 여사의 소환 불응을 계속 지켜볼 수는 없는 상황이다. 특검이 출범하면 그동안의 수사 내용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앞서 수사 성과를 내야 하는 압박이 생긴다. 따라서 대선 직후 김 여사 수사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검찰은 김 여사 소환에 앞서 관련 증거물 조사에도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수사팀은 압수영장을 통해 이른바 ‘건진법사’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부(부장 박건욱)가 확보한 김 여사 휴대전화 등을 분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에서 김 여사를 보좌한 행정관 2명의 휴대전화도 압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여사는 지난 대선 당시 명 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제공받는 대가로 2022년 6·1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경남 창원 의창 선거구에 공천을 받도록 했다는 의혹 등을 받고 있다.

정선형 기자
정선형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