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
사진=뉴시

금융감독원이 금융권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를 소집해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해킹사고 등 사이버 위협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을 당부했다.

15일 이세훈 금감원 수석부원장은 금융권 CISO 간담회를 개최하고 보안사고에 대한 궁극적 책임은 최고경영자(CEO)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 수석부원장은 “금융회사 업무범위와 영업 확장 등 외형성장에 따라 내부 정보기술(IT)보안 역량도 이에 걸맞은 수준으로 갖추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면서 “기본적인 보안역량이 미흡함에도 업무 확장에만 치중하는 회사에는 영위할 수 있는 업무 범위나 규모에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날 간담회는 이동통신사 해킹에 따른 부정거래 등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금융권에 금융 보안을 강조하기 위해 마련됐다.

금감원은 현재 비상대응본부를 운영하고 SKT 유심정보 유출사고에 따른 2차 피해 발생 여부를 일일 모니터링 하는 등 금융사고 및 소비자 피해 예방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이 수석부원장은 △보안체계 구축 △내부 보안역량 구비 △정치 상황에 따른 사이버 공격 주의 등을 당부했다.

금감원은 비상대응본부를 중심으로 SKT 해킹 사고 여파에 따른 금융소비자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변화하는 디지털 금융 환경에 발맞춰 금융회사 자율보안 역량, 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감독 대책도 마련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권 IT 안전성, 복원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사이버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해외 감독기구 사례를 참고해 종합 대응 방안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정경 기자
박정경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