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가 국립오페라단 등 장관이 직접 임명 혹은 임명 승인하는 국립예술기관과 단체 15곳의 단체장을 공개 모집을 통해 선발하기로 했다. 또 공개 검증제도와 사전 선임제도를 도입해 인선 절차를 개편한다.
문체부는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국립예술단체장 선발 절차와 일정을 개편하는 계획 등을 포함한 ‘공연예술 정책’을 발표했다.
문체부는 그간 국립예술단체장 인선이 명시적 규정 없이 비공개로 이뤄져 공정성 시비가 끊이지 않고, 선임 절차가 지연되면서 빈번하게 단체장 공석이 발생한다는 공연계 지적을 수용해 관련 절차를 전면 개편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미 공개모집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국립국악원장과 국립극장장은 이번 개편 대상에서 제외했다.
문체부는 기존에 분야별로 명망 있는 인사를 비공식적으로 추천받아 임명하던 인선 절차를 폐지하고, 공개 모집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역량 있는 인재에게 단체장에 응시할 기회를 확장한다는 취지다.
단체장 후보자가 ‘공개검증위원단’에 중장기 비전과 운영계획을 발표하고, 예술적 역량을 선보이는 공개 검증제도도 도입한다. 공개검증위원단은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평가단’과 관련 분야 ‘참관인 그룹’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전문평가단에게는 심사 권한을, 참관인 그룹에는 전문평가단이 참고자료로 활용할 평가서 작성 권한을 부여한다.
사전 선임제도를 도입해 빈번하게 발생하는 국립예술단체장 공석 사태를 미연에 방지한다. 단체장 임기가 만료되기 1년 전에 후임자 선임 절차 논의를 시작해 후임자가 임기 개시 최소 6개월 전부터 미리 단체 운영을 준비하고 세부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문체부는 6월부터 예술성과 경영능력 검증이 필요한 국립예술단체장 직위 중 잔여임기가 1년 미만인 직위를 대상으로 통합모집 공고를 할 계획이다. 국립합창단과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서울예술단을 제외한 총 12곳이 공고 대상이 될 전망이다. 공개심사를 거쳐 8∼9월 중 선발 절차가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재우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