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수 논설위원

미국이 중국·러시아에 뒤진 원자력 산업 키우기에 본격 나설 태세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원자력발전 용량을 2050년까지 현재의 네 배로 늘릴 계획이라고 한다. 한국엔 조선에 이어 좋은 기회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100기가와트(GW)인 원전발전 용량을 2050년 400GW로 늘리는 행정명령을 마련했다. 내년부터 25년 동안 매년 1GW급 원전을 12기 새로 짓는 것이다. 원전 건설 속도를 높이고,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자로에 미군의 자금 지원도 추진할 것이라고 한다. 앞서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50년까지 매년 전 세계적으로 대형 원전이 최소 16기 착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원자력 르네상스가 열릴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미국의 원전 확대는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인공지능(AI) 시대에 대응하는 동시에 중·러를 견제하려는 것이다. 미국이 차세대 SMR을 선도하는 현실도 고려했을 것이다. 미국은 1979년 스리마일 원전 누출 사고 이후 원전에 거리를 둬, 최근 30년간 가동된 원전이 3기에 불과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당시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화석연료 규제 완화를 강조한 바 있다. 미국은 94기의 원전을 가진 세계 최대 원전국가다. 트럼프 행정부가 2017년 이후 세계 원자로의 87%를 중·러에 의존하는 현 상황을 타개하겠다고 나선 것만으로도 파장이 클 수밖에 없다.
K-원전이 도약할 기회다. 툭 하면 발목을 잡던 미 웨스팅하우스(WH)와도 이미 상생 동맹을 체결했다. 원전은 한미 관세협상과 통상 관계 재구축에도 조선과 함께 디딤돌이 될 수 있다.
최근 체코 원전 계약 서명이 프랑스의 방해로 지연되는 돌발 사태가 벌어졌다. 체코 정부는 K-원전의 경쟁력을 인정하며 한국의 수주는 변함없다고 단언한다. 그래도 안방인 유럽 시장을 지키려는 프랑스 등의 트집 잡기는 계속 시도될 가능성이 짙다. 주요 대선 후보들은 AI 산업 육성엔 한목소리다. 에너지를 늘리려면 원전은 필수다. 원전의 발전 비중은 지난해 31.6%로, 석탄·가스(각 28.1%)·신재생에너지(10.6%)를 제치고 18년 만에 다시 1위에 올랐다. 재생에너지 확대·감(減)원전 등으로 한눈팔지 말고 원전 활성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1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