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연합뉴스

광주 5·18 민주묘지 참배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국립 5·18민주묘지를 참배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헌화하고,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적었다.

김 후보는 전남대 총학생회장으로 단식 투쟁 중 옥중 사망한 박관현 열사 묘역도 참배했다. 김 후보는 박 열사 묘역에서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김 후보와 박 열사는 광주교도소 같은 독방에 수감된 인연이 있다. 박 열사는 1982년 4월 신군부에 의해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로 광주교도소에 수감돼 50일간 단식투쟁 끝에 사망했다. 김 후보는 1986년 직선제 개헌 투쟁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된 뒤 1988년 10개월 간 박 열사가 갇혔던 방에 수감됐다가 개천절 특사로 출사했다.

김 후보는 “제가 박관현 (열사) 방에서 수감 생활했다. 박관현 (열사가) 죽은 뒤 제가 들어가서 1년 동안 생활했다”며 “(박 열사가) 교도소에서 계속 단식하다가 지병으로 돌아가셨다”고 말했다. 이어 “(박 열사) 누님이 살아계신데 누님이 매년 오신다. 너무나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박 열사의 묘비를 어루만지며 “너무 보고싶다. 5월을 생각하면 너무나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초선 국회의원 때부터 매년 5·18 기념식 참석뿐 아니라 박 열사 묘소 참배를 이어왔다.

이번 참배에는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박대출 사무총장, 인요한 호남특별위원장 등이 함께 했다.

앞서 김 후보는 전북대 이세종 열사비 참배를 계획했으나 광주지역 단체들의 강력히 반대하자 일정을 취소하기도 했다.

김윤희 기자
김윤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1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1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