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 압수 증거물 분석 착수
‘서울~양평 고속도로’ 노선 변경에 대한 특혜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강제 수사로 확보한 증거 분석에 착수했다.
17일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국토교통부와 양평군청, 용역업체인 경동엔지니어링, 동해종합기술공사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증거물 분석 작업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전날(16일) 6시간에 걸쳐 이들 기관과 업체 등을 압수수색했다.
경기 하남시와 양평군을 잇는 해당 고속도로는 국토부가 2017년부터 추진해 온 사업이다. 원안이었던 양서면 종점 노선이 지난 2021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는데, 국토부가 2023년 5월 대안인 강상면 종점 노선을 검토하면서 더불어민주당 등에서 특혜 의혹을 제기한 데 고발이 뒤따랐다. 논란이 일면서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이 2023년 7월 돌연 사업 백지화를 선언하면서 사업이 중단된 상태이다.
민주당은 양평군 양서면이 종점인 ‘원안’에 강하 나들목(IC)을 설치하자고 주장해 왔다. 민주당의 지역 정치인들이 앞서 문재인 정부 시절이던 2021년 5월 당정 협의를 통해 주장한 해당 안에 대해 국토부 측은 당시 “노선이 L자로 급격히 꺾여 추진이 불가능한 노선”이라며 거부했다고 한다. 국토부가 비교·검토를 거쳐 최적이라고 판단한 2안은 강하 IC를 신설하되, 종점을 정치권에서 문제가 되는 강상면에 옮겨 두는 구상이다.
이 사건 관련 첫 압수수색 영장 집행에서 경찰은 서울~양평 고속도로 노선 변경 과정 등과 관련한 문건 및 보고 자료 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 일가에게 특혜가 돌아갔다고 의혹 제기한 것과 관련한 분석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해당 사업에 대한 용역업체 등의 타당성 조사가 제대로 이뤄졌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이번 수사의 핵심으로 꼽힌다. 또 이 사건 피고발인인 원 전 장관 등에 대한 소환 조사를 검토하는 한편, 사업 추진에서 국토부와 원 전 장관의 개입이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서종민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1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