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 재임중 탈당
이명박 재임후 탈당, 박근혜는 첫 출당조치
윤석열 전 대통령의 17일 국민의힘 탈당으로 인해 ‘대통령 탈당사’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1987년 5년 단임 대통령 직선제가 실시된 이후 전·현직 대통령 8명 가운데 7명이 재임 중 혹은 퇴임 이후 소속 정당에서 탈당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1992년 9월 민자당 명예총재직을 내려놨다. 당시 민자당 대선 후보였던 김영삼 전 대통령과의 갈등이 계기가 됐다. 김영삼 당시 후보는 당 주류였던 민정계를 밀어내고 노 전 대통령과 차별화를 본격화했다.
그러나 김영삼 전 대통령 역시 임기 말에는 차기 대선주자와의 갈등으로 여당이었던 신한국당을 떠나야 했다. 이회창 당시 신한국당 대선후보가 김 전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하고 포항에선 ‘YS 인형 화형식’까지 발생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사태로 지지율까지 추락하자 김 전 대통령은 결국 1997년 11월 탈당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세 아들 비리 의혹과 ‘최규선 게이트’로 당에 부담이 커지자 2002년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재임 중 두 번 탈당한 케이스다. 노 전 대통령은 참여정부 첫해인 2003년 9월 열린우리당 창당 사태 때 새천년민주당을 떠나 열린우리당에 입당했다. 2007년 2월에는 임기 말 지지도 추락이 대선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여권 여루 속에 열린우리당에서도 탈당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탈당 없이 대통령 임기를 마쳤지만 2017년 1월 결국 탈당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여당이 내홍에 휩싸이면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 중 처음으로 탈당이 아닌 출당 조치로 당적을 정리당했다. 자유한국당은 2017년 11월 헌법재판소에서 파면된 박 전 대통령에 대해 ‘탈당 권유’ 징계를 내린 후 탈당 신고서가 접수되지 않자 강제출당시켰다.
2022년 퇴임한 문재인 전 대통령만 민주당 당적을 온전히 유지하고 있다.
김윤희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
관련기사
57[속보]이 대통령 ‘잘할 것’ 65%·‘잘못할 것’ 24%…민주 45%·국힘 23%-NBS
[속보]이재명 시계 만든다…李 “제작 지시, 기대해주셔도 좋다”
-
관련기사
27尹 오늘 2차 소환 불응…경찰 “일과 끝날 때까지 기다릴 것”
‘비화폰 삭제 의혹’ 尹 전 대통령, 경찰 소환조사 불응 방침
-
관련기사
104‘안미경중’ 경고 이어… 미, 이재명 대통령에 ‘中 거리두기’ 요구
투표율 79.4%, 1997년 이후 최고치… 광주 83.9%로 1위·제주 74.6% 최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1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