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왼쪽 네번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뉴시스
이주호(왼쪽 네번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뉴시스

이주호 대행 “오월 정신 위에 오늘의 대한민국 세워져”

광주=김대우 기자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10시 광주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엄수됐다. ‘함께, 오월을 쓰다’를 주제로 열린 이날 기념식에는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5·18민주유공자, 각 정당 대선 후보, 정·관계 주요 인사, 학생 등 약 2500명이 참석했다.

대선후보 중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가 참석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불참했다.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은 시민들의 거센 항의를 받아 기념식에 참석하지 못하고 발길을 돌렸다.

기념식은 국민의례를 시작으로 경과보고, 여는 공연, 기념사, 기념 영상, 대합창, ‘님을 위한 행진곡’ 제창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이 권한대행은 기념사에서 “1980년 5월, 광주는 평범한 학생과 시민들이 민주·정의·인권의 가치를 목숨 바쳐 지켜낸 역사의 현장이었다”며 “피 끓는 오월 영령들의 외침과 이웃을 내 가족처럼 보듬는 공동체 정신이 하나 돼 오월의 정신이 되었고, 그 오월의 정신 위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세워졌다”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은 지금 곳곳에 갈등과 분열이 깊어지고 있다”며 “45년 전 오월의 광주가 보여주었던 연대와 통합의 정신은 지금 우리에게 꼭 필요한 가르침이다”고 말했다.

약 40분간 진행된 이날 기념식은 참석자가 함께 손을 맞잡고 오월의 노래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참석자들은 기념식이 끝난 직후 5·18 희생자 묘역과 유영봉안소 등지를 참배하며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산화한 열사들을 추념했다.

정부가 주관하는 5·18기념식은 5·18민주화운동이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1997년 이후 매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개최돼 왔다. 한편 광주시는 이날 열린 기념식을 시정홍보 LED 전광판을 통해 실시간 송출했다. 현장을 직접 찾지 못하는 시민과 방문객들이 기념식을 함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획했다.

김대우 기자
김대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